2026년 7월 대구경북특별시 출범이 확실시 되고 있는 가운데 초대 특별시장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초대시장은 통합 이후 통합시를 탄탄하게 다져야 할 막중한 임무가 부여돼 있기 때문이다. 적임자로 벌써 이철우 경북도지사와 홍준표 대구시장 이야기가 나온다.  이번 대구경북 행정통합을 주도해온 공로가 인정돼 본인 의사와 관계없이 통합시장에 물망에 오르고 있다. 초대 특별시장이 급물살을 타는 것은 대구시·경북도·정부는 2026년 7월 서울특별시에 준하는 위상을 갖는 통합 지방자치단체 대구경북특별시 출범 목표에 공동 합의하고 본격적인 행정통합 작업에 나서 출범이 가시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오늘이 있기까지 우여곡절이 많았다. 대구시장과 경북도지사의 이견으로 통합이 물거품으로 끝날 위기에 몰리기도 했으며 한때 모든 것 접고 포기상태에 있었던 게 사실이다.   행정통합이 오락가락하는 와중에 단비를 만난 것은 이상민 행안부장관이다. 이 장관 중재로 지난 21일 홍준표 대구시장과 이철우 경북도지사,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이 정부서울청사에서 '대구·경북 통합을 위한 공동 합의문'에 서명하면서 본격적인 추진이 시작됐다. 대구 경북 행정통합은 행안부 국정 감사에서도 확인됐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25일 행안부 종합국정감사에서 국민의힘 이달희 의원 질의에 "대구경북특별시 출범을 위한 범정부지원추진단을 신속하게 구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2026년 7월 '대구경북특별시' 출범을 위한 범정부통합지원단 구성과 관련, "행안부를 비롯해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환경부, 고용노동부 등 사실상 전 부처가 관여돼 있다"면서 의지를 보였다.   이 장관은 이어 "지금 대한민국이 직면한 가장 큰 문제는 수도권 일극 체제, 그다음에 지방소멸·인구감소 문제"라며 "국회를 비롯한 온 국민의 관심과 지지 속에 대구·경북 통합이 성공적으로 잘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대구경북특별시 출범이 전국 광역 자치 단체의 모델이 될 것이라며 행정통합의 당위성을 설명했다.   이제 대구경북특별시 열차가 힘찬 출발을 앞두고 있다. 웅도 경북 옛 명성을 되찾고 대구경북이 하나가 되는 새로운 역사가 시작된 것이다. 시도민이 초대 특별시장에 관심을 보이는 것은 대구경북 행정통합의 성공을 위해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