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우크라이나 전쟁에 러시아 지원을 위해 파병까지 불사하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밀착하는 것은 정권의 생존을 위한 것이라고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이 4일(현지시간) 분석했다. 전략적 환경이 급변하는 와중에 과거의 방식을 답습하는 것으로는 정권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판단 하에 러시아에 사실상 '올인'하고 있다는 것이다. 김 위원장이 과거 신무기 시험을 삼가고 협상에 나서면서 이른바 '왕따국가'에서 벗어나려고 한 적도 있지만 이제는 원하는 것을 위해 불량한 행위를 더욱 과감하게 취하고 있다는 것이다.김 위원장의 행보 중 가장 대범한 조치가 북한군의 우크라이나 전장 파병이다. 파병을 통해 돈에 쪼들리는 북한 정권을 위한 새로운 챕터(장)를 여는 한편 러시아에 대한 올인 전략을 통해 경제적 구제와 핵프로그램 증진, 정권 보장을 위한 한층 뻔뻔한 길을 가고 있다는 것이 WSJ의 분석이다. WSJ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과의 군사적 공생을 선택하면서 김 위원장은 우선 유엔에서 러시아라는 든든한 방패막이를 얻게 됐고 국경무역에 있어서도 이익을 봤다. 북한군의 우크라이나 파병에 따라 한반도에서 충돌이 빚어질 경우 상호 지원의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고 WSJ은 지적했다. 한편으로 WSJ은 김 위원장의 '도박'이 역효과를 낳을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북한 병력이 전장에서 실패하거나 탈주할 경우 푸틴 대통령과의 관계나 북한 내부적으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나면 러시아의 포괄적인 약속이 서서히 사라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그러나 여러 방면에서 북한은 과거의 낡은 접근을 되풀이할 수는 없는 상황이라고 WSJ은 지적했다. 미국과 서유럽, 인도태평양 동맹이 중국의 공세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 글로벌 공급망의 무기화를 둘러싸고 새로운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있으며 이같은 파트너십이 김정은 정권의 핵위협에 맞서 힘을 합칠 가능성도 있다. 러시아와의 밀착은 중국 이외에 우군을 다각화한다는 점에서 북한 입장에서는 의미가 크다. 현금이나 에너지, 기술을 지원받는 것을 넘어서서 김 위원장에게 러시아와의 급속한 관계 진전이 전략 지정학적 가치가 크다는 것이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