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7일 대국민 담화·기자회견에서 사과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민생을 위해,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시작한 일들이 국민 여러분께 불편을 드리기도 했고, 제 주변의 일로 국민께 염려를 드리기도 했다"고 말했다. "대통령은 변명하는 자리가 아니라고 생각한다. 모든 것이 저의 불찰이고 부덕의 소치"라며 "국민 여러분께 죄송하다는 진심 어린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재차 사과를 표명했다. 회견장 연단 위 책상에 앉아 담화문을 발표하던 윤 대통령은 이 같은 사과 발언을 하며 자리에서 일어나 고개를 숙이기도 했다.그러나 대통령의 사과는 알맹이 없다는 야당들의 반응에서 보듯 충분하지 않았다. 윤 대통령은 자신과 명태균 씨와 통화 녹음이 공개된 데 대해 "부적절한 일을 한 것도 없고, 또 감출 것도 없다"고 말했고 부인 김건희 여사와 명 씨가 연락한 데 대해서도 "한 몇 차례 정도 문자나 이런 걸 했다고는 얘기를 하는데, 좀 일상적인 것들이 많았다"고 말함으로써 질문의 핵심을 피해갔다. 야당이 추진하는 '김 여사 특검법' 역시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를 시사함으로써 달라진 변화가 없었다. 야당은 즉각 비판 성명을 발표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윤 대통령이 끝내 국민을 저버리고 김건희 여사를 선택했다"고 비판했다. 민주당 조승래 수석대변인은 "140분간의 대국민 담화와 회견은 알맹이 없는 사과, 구질구질한 변명, 구제 불능의 오만과 독선으로 넘쳐났다"고 말했다. 조국혁신당 황운하 원내대표도 "전파 낭비, 시간 낭비, 세금낭비였다"며 "대통령 배우자 비리 수사가 인권유린이라는 발언도 역사에 남을 망언"이라고 말했다.대통령 담화가 있던 날 발표된 한 여론조사는 대통령 지지율이 최저치를 벗어나지 못했다는 결과를 제시했다. 비판 여론으로 코너에 몰렸던 대통령실과 대통령이 제대로 된 사과와 답변을 하지 못함으로써 위기를 탈출할 기회를 놓쳤다는 평가도 나온다. 이로 인해 앞으로의 정국이 더 거센 대결과 파국으로 치달을 수 있다는 점에서 지켜보는 국민의 답답함과 시름도 깊어질 수밖에 없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