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정부가 우크라이나에 러시아 본토 공격 시 미국이 지원한 육군전술유도탄체계(ATACMS·에이태큼스) 장거리 지대지 미사일의 사용을 허용한 것으로 17일(현지시간) 알려졌다. 그러나 이런 조치가 전쟁의 전세를 뒤집기에는 충분치 않은 데다, 우크라이나의 요구에도 오랫동안 이를 허용하지 않았던 미국이 뒤늦게 정책을 전환한 것은 오히려 전쟁의 위험성을 더 키울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미국 CNN 방송은 분석 기사에서 바이든 대통령의 이번 결정으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물려받을 전쟁의 위험성이 커졌다고 진단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그동안 우크라이나가 무기 지원을 요청할 때마다 결정을 보류하다 우크라이나에서 그 요청을 거두는 듯한 모습을 보일 때야 이를 승인하는 모습을 보여왔다고 CNN은 지적했다. 이번 에이태큼스 사용 제한 해제 역시 비슷한 우려가 나온다.미국이 러시아 본토 공격을 위해 정밀 미사일 사용을 허용한 것은 말 그대로 상당히 도발적 조처라는 평가가 있다. 러시아가 당장 미국이나 NATO(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와 전면전을 벌일 가능성은 적지만, 향후 민간인을 표적으로 한 사보타주(파괴공작) 등을 벌일 위험성도 있다. 또 이번 결정의 배경으로 북한군의 러시아 파병을 들었다. 북한에 '북한군이 취약하며 북한이 병력을 더 보내서는 안 된다'는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서라는 게 미 당국자들의 설명이다.바이든 정부의 입장에서 보면 이번 결정은 긴장 고조에 대응하는 또 다른 긴장 고조 행위이지만, 상징성이 매우 크다는 점에서 오랫동안 결정이 미뤄진 사실로 인해 이번 조치의 강력함이 더 부각됐다고 CNN은 분석했다. CNN은 트럼프 당선인은 자신이 평화를 이야기할 수 있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그가 물려받을 것은 훨씬 더 심각한 위기로 치닫고 있는 전쟁이라고 지적했다. 우크라이나의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번 조치에 대해 "미사일은 스스로 말할 것"이라고 말해 미국산 무기로 곧 행동에 나서겠다고 시사해 위험이 고조되고 있다. 연합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