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방의 장거리 미사일 봉인 해제로 본토를 타격당한 러시아가 핵 사용 조건 완화에 나섰지만, 실제 핵무기를 사용할 가능성은 크지는 않다는 분석이 나왔다. 다만 암살이나 테러 등 비군사적 방식의 보복이나 사이버테러·정보전 등 '하이브리드 전쟁' 활동은 전보다 활발해질 것으로 예측됐다. 영국 일간 가디언, 더타임스 등은 20일(현지시간) 이같은 전망을 내놓으며 러시아가 서방의 장거리 미사일 사용 승인에 곧바로 핵 교리 개정을 승인하는 강수를 뒀지만, 미국은 위협과 달리 아직 러시아의 핵무기 저장 시설에서 전술 탄두의 위치 변화 등 이상 징후가 포착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러시아 핵전력 전문가인 유엔군축연구소(UNIDIR)의 파벨 포드비그 선임연구원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 핵무기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한 선택지로 검토하고 있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군사적 목적을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 데다, 현재 러시아군은 전진하는 중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1945년 이후 처음으로 실전에서 핵무기를 사용할 경우 국제사회의 광범위한 비난을 받게 되고, 향후 정세 변화를 예측하기 어려워진다는 점도 근거로 들었다. 대신 러시아는 사이버테러나 기반 시설에 대한 사보타주(파괴 공작)를 가하는 '하이브리드 전쟁'으로 적극적인 보복에 나설 가능성이 제기된다. 올해 7월 영국 버밍엄과 독일 라이프치히의 DHL 물류센터에서는 북미행 항공기에 실릴 예정이던 소포에서 연이어 화재가 발생한 바 있다. 이같은 사건의 배후에 러시아가 있다는 의혹이 제기된 바 있는데, 앞으로도 발전소나 급수 시스템 등을 노린 유사한 '하이브리드 전쟁'이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가디언은 ""서방에서는 러시아의 '인터넷 봇'이 첨예한 이슈를 증폭시켜 사회 결속을 저해하고 극우 세력을 키우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활동에 '대리자'를 내세움으로써 책임을 묻기 어렵게 만드는 방식도 이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가디언은 내다봤다. 사설 정보조직이나 범죄자들을 사주해 테러나 암살 등에 동원할 수 있다는 것이다. 더타임스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늘 그래왔듯이, 앞으로 무슨 일을 할지는 매우 예측불가능하다"고 했다. 연합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