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가 대선에서 승리해 곧 대통령에 취임하면 다시 북한 김정은 위원장과 정상회담을 추진할 것인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과거 세계인의 관심 속에 진행됐던 미국과 북한의 정상회담 국면은 2019년 2월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2차 미북 정상회담의 결렬로 막을 내렸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당시 '이단아' 트럼프 대통령의 예측 불가성과 협상가의 면모를 엿볼 수 있었다는 평가가 뒤따랐다. 로이터 통신은 26일(현지시간) 트럼프 당선인 측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당선인과 김정은 간의 직접 대화 추진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전해 주목된다.외교가에서는 트럼프 당선인이 지난 대선 캠페인 과정에서 김정은 위원장과의 친분을 강조하면서 다시 만날 가능성에 여지를 남긴 점을 들어 로이터 통신의 보도내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트럼프 당선인은 대선 직전인 지난달 9일 자신의 재임 시절, 김 위원장이 자신과 '핵무기 발사 단추'를 거론하는 거친 언사를 주고받은 뒤 전화를 걸어와 회담을 제안해왔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김정은 위원장이 지난 21일 평양에서 열린 무장장비전시회 개막 연설에서 미국에 대한 강한 불신을 드러냈다는 점을 들어 미북 정상회담이나 협상국면의 재개 가능성을 낮게 보고 있다. 하지만 2018년의 경험을 떠올리면 다른 가능성도 상정 가능하다. 북한은 2017년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핵무력 완성을 위해 총력전을 펼쳤다. 2017년 9월 북한은 6차 핵실험이라는 중대 도발을 했다. 이렇게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에 충격을 주던 북한은 이듬해 갑자기 태도를 바꿔 화려한 '탑 다운' 정상외교에 나선 것이다.2018년에는 '중재자'로 한국 정부가 나섰다면 이번에는 일본인 납북 문제를 고리로 북한과 협상하려는 일본 정부가 역할을 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우크라이나 휴전협상이 진행될 경우 이를 고리로 미국과 러시아의 대화가 진행되면서 국제질서의 흐름이 정리될 가능성이 있다. 아울러 북한의 경우 완성된 핵무력의 보존과 확실한 안전판 확보, 그리고 자력갱생 노선에 대한 재검토 등의 사전조건이 충족돼야 하는 것도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