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 평균 가계소득은 늘었지만 고소득층 소득이 큰 폭으로 늘면서 분배 지표가 2개 분기째 악화했다. 실질 사업소득이 2개 분기 연속 감소하는 등 길어지는 내수 부진이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3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25만5000원으로 1년 전보다 4.4% 증가했다. 지난해 1분기(4.7%)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나 최근 5개 분기 연속 증가세다. 물가를 반영한 실질소득은 2.3% 늘었다.가계소득 중 가장 비중이 큰 근로소득은 332만9000원으로 3.3% 증가했다. 취업자 수가 늘고 임금이 오른 영향이다. 지난 분기(3.9%)보다는 증가 폭이 다소 둔화했다. 사업소득은 98만7000원으로 0.3% 늘어나는 데 그쳤다. 실질 사업소득은 1.7% 감소하며 2분기(-1.3%)에 이어 2개 분기 연속 줄었다. 최근 역대 최장기간 소매 판매(재화 소비)가 감소하고 자영업자 가구가 줄어든 점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이전소득은 국민연금 수급액 인상 등 영향으로 7.7% 늘어난 78만4000원이었다. 재산소득은 5만4000원으로 51.8% 늘었다.소득 분위별로 보면 상대적으로 고소득층 근로소득이 저소득층보다 더 많이 늘면서 소득 분배 지표가 악화했다. 소득 상위 20% 가구인 5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154만3000원으로 6.5% 늘었다. 소득 하위 20% 가구인 1분위 가구 소득은 5.4% 늘어난 118만2000원이었다. 상위 20%의 소득을 하위 20%의 소득으로 나눈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5.69배였다. 상위 20% 소득이 하위 20%의 5.69배라는 뜻이다. 3분기 균등화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작년 3분기(5.55배)보다 0.14배 포인트(p) 상승했다. 이지은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장은 "5분위 근로소득 증가가 처분 가능 균등화 배율이 증가하는 데 영향을 줬다"라고 말했다. 다만 정부 측은 5분위 배율 변동 수준이 신뢰구간 내에 있어 유의미하다고 보기 어렵다며 연간 통계인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통해 분배 상황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기획재정부 측은 "실질소득 증가 흐름이 이어지도록 일자리 창출 노력을 강화하고 핵심 복지지출을 대폭 확대해서 약자 복지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