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글에서 요약의 의미와 필요성,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천재성 비결, 대학 과제로 요약문 내는 이유 두 가지를 정리해보았다. 나머지 두 가지 이유, 요약 목적/내용에 대해 알아본다.
  셋째, 수업 태도나 집중력 체크, 요약된 내용의 수준을 보고 수업 내용을 잘 이해했는지 확인하는 용도다. 사실 교수님 대부분은 많은 학생 수, 강의 위주 수업에 시달린다. 이 때문에 어떤 학생이 어느 정도 집중을 하는지 알기가 쉽지 않다.
 
요약문 과제는 수업 내용과 밀접한 자료를 정리하는 작업이다. 이를 통해 교수님은 학생이 수업을 충실히 듣고 제대로 집중했는지 판단한다. 수업을 충실히 들은 학생을 이뻐하지 않는 교수님은 없다.
 
끝으로, 학점 매기기. 가장 현실적인 이유일 것이다. 결국 과제는 학생 제출에 교수님 평가로 마무리된다. 사실 위의 세 번째 필요성도 학점 매기기를 위한 참고 자료 역할을 한다.어떤 목적으로 요약하는가?어떤 글이든 작성 전에 어떤 목적으로 쓰는지 생각해보면 좋다. 그래야 목적에 맞는 글을 쓸 수 있다. 단순 기록용, 상세 기록용, 특수 목적용 세 가지로 구분된다.
 
첫째, 단순 기록용. 읽었단 사실을 남기기 위해 간단히 기록해두는 것이다. 하루에 한 일을 아주 짧게 적어놓은 일기와 크게 다르지 않다. 주로 메모를 하거나 밑줄을 긋는 방식이 이루어진다. 메모의 경우 문장/단락을 기재하기보다는 키워드를 나열하거나 짧게 문구를 옮겨두게 된다.
  둘째, 상세 기록용. 단순 기록을 넘어 좀 더 자세히 기록해두는 방식이다. 특정 목적을 띠지는 않지만 단순 기록보다 심층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책을 읽고 중요해 보이거나 관심 가는 부분을 가져올 때 주로 활용한다. 특히 서평이나 블로그 글에서 많이 나타난다.
  특정 부분을 가져온 뒤 나중에 그것에 자기 생각을 추가하기도 한다. 상세 기록용은 그 자체의 의미가 있으면서 보다 확장된 글을 위한 자료 역할도 한다. 일정한 순서나 기준에 따라 자세하게 정리하는 서술식보다는, 중요한 요점을 차례로 나열하는 개조식이 많이 쓰인다.
 
셋째, 특수 목적용. 특정한 목적을 위해 수행하는 방식이다. 과제로 제출하거나 기관/학교 등 지원 시 필요해 하는 경우다. 위에서 말한 과제 제출 시 유효한 방식으로 볼 수 있다. 어떤 내용을 요약하는가?목적만큼 중요한 것이 요약 내용이다. 크게 전체 요약, 부분 요약, 주제 요약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전체 요약. 말 그대로 자료 전부를 핵심 내용 위주로 요약한다. 보통 요약이라 하면 떠올리는 유형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부분 요약. 일부 내용을 줄이는 방식이다. 중요한 특정 챕터를 정리하거나 특정 주제가 드러나는 부분을 정리할 때 활용한다.
 
셋째, 주제 요약. 특정 주제에 해당하는 내용을 정리한다. 요약이 필요할 때 주제가 이미 존재하기도 하지만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전자라면 주제에 맞는 요약을 해야 한다. 후자라면 자료의 핵심 주제를 찾아 그에 맞는 내용을 정리해야 한다. 요약이 주제 파악을 위한 행위라 말해지는 이유.
  보통은 전체 요약을 떠올리지만 이보다 더 필요한 것은 주제 요약이다. 요약은 결국 핵심 주제를 파악해 체계적/유기적으로 전개하는 과정이기 때문. 주제 요약은 내가 쓰고 싶거나 요약하고 싶은 주제를 뽑아 쓰는 게 아니다. 자료의 핵심 내용을 문제화/초점화해 그에 대한 답을 제시하는 과정이다.
 
위와 같이 세 가지로 구분한 데는 이유가 있다. 어떤 요약을 하든 주제 파악이 가장 중요함을 말하기 위해서다. 주제 파악 후 구체적으로 어떻게 요약할 것인지 생각해야 한다. 안타깝게도 주제에 대한 별다른 고민 없이 요약부터 하는 경우를 보곤 한다. 이 경우 중간중간 ‘현타’가 올 수 있다. 자신이 무엇을 요약하고 있는지, 그 내용이 과연 적절한지 헷갈리기 때문.
  요약은 어떤 단계로 진행하면 좋을까. 다음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