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한 단독주택이나 빌라촌을 민간 사업자가 정비할 경우 정부가 편의 시설 설치 등을 지원하는 '뉴빌리지 선도사업' 대상지로 경북 경주시와 서울 종로구, 부산 사상구 등 전국 32개 지방자치단체가 선정됐다. 국토교통부는 국무총리 소속 도시재생특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선정한 뉴빌리지 선도 사업 지역 32곳을 23일 공개했다. 경북에서 영주시, 경주시, 구미시, 상주시가 사업지로 확정돼 주민들의 주거 환경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서울은 종로구 옥인동과 신영동, 중구, 강북구 등 총 4곳이 선정됐다. 전남은 강진군, 광양시, 담양군, 장흥군이 선정됐고 경기(광명시, 수원특례시, 김포시)와 경남(창원특례시, 남해군, 양산시), 부산(사상구, 진구, 연제구) 등은 각각 3곳이 뽑혔다. 이 밖에 인천, 대전, 대구, 광주, 전북을 포함해 전국에서 모두 32개 지역이 뉴빌리지 사업 지원 혜택을 받게 됐다. 경제 양극화에 주거 양극화도 있는만큼 ‘뉴빌리지 선도사업’이 이를 조금이나마 해소했으면 좋겠다.정부는 이들 지역에 최대 5년간 국비 4132억원을 포함해 총 1조2000억원을 투자한다. 국토부는 사업지에서 도보 5분 이내에 주차장, 공원, 돌봄 등의 복합편의시설 237개를 설치하는 등 아파트 수준의 기반·편의시설을 공급할 계획이다. 사업지로 선정된 곳에는 총 3000 가구의 빌라와 타운하우스 등이 공급된다. 이 중 약 570가구는 지자체를 통한 사업 신고와 승인 절차가 완료돼 조만간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될 예정이다.국토부는 전면 재개발이 어려운 노후 단독주택과 빌라를 새 빌라나 타운하우스 등으로 민간이 개발할 때 정부가 주차장, 운동시설 등 편의시설을 지원하고 금융·제도적 인센티브를 주는 내용으로 지난 8월 뉴빌리지 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이후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해 왔으며 사업에 지원한 총 61곳의 지자체를 대상으로 도시·정비 전문가들이 2개월에 걸쳐 평가를 진행했다. 평가에서는 특히 주민들이 얼마나 사업 의지가 있고, 이를 사업계획에 얼마나 현실적으로 잘 반영했는지를 집중 검토한 것으로 전해졌다. 국토부 관계자는 "선정된 사업지들에는 내년부터 관리자들을 현장으로 보내서 밀착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