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비상시국은 정치권의 책임이 크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오는 26일 윤석열 대통령 직무 정지로 인한 국정 공백 수습책을 논의할 여·야·정 협의체를 열기로 합의했다. 협의체 운영은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제의했다.   우원식 국회의장과 국민의힘 권성동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 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 등은 23일 국회에서 회동을 갖고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여·야·정 협의체 첫 회의 참석자에 대해 민주당 박성준 원내수석부대표는 “오늘과 내일 실무 회담을 통해 조정해야겠지만, 아마도 대통령 권한대행과 국회의장, 여야 당 대표가 참석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국민의힘 박형수 원내수석부대표는 “첫 회의에는 양당 당 대표가 참여하고, 그다음부터는 원내대표가 진행하는 방식”이라고 했다. 여·야·정 협의체 가동은 환영할 일이다.   하지만 여야는 이날 국회 본회의 등 의사 일정에 대해선 이견을 드러냈다. 민주당 박성준 원내수석부대표는 “비상한 상황이므로 국정 정상화를 위해 국회가 역할을 다해야 한다”며 “오는 26일, 27일, 30일, 31일, 다음 달 2일, 3일에 본회의를 열어야 한다”고 했다. 그는 “31일과 다음 달 2일, 3일 내란 사태와 관련해 대정부 질문이 필요하다”고 했다. 반면 국민의힘 박형수 원내수석부대표는 “본회의는 오는 26일과 31일에 개최하기로 확정했다”며 “연말에 민생 법안 처리에 집중해야지, 대정부 질문을 하면서 계속 국회를 여는 건 적절하지 않다”고 의사 일정 조율에 엇박자를 나타냈다. 문제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으로 국가적 비상상황에도 여야는 정치적 유불리만 따지고 있어 보기에 민망스럽다. 민주당은 정국 안정을 위해 협의체를 제의해놓고 느닷없이 대통령 권한대행까지 탄핵하겠다는 소리를 서슴지 않고 있다. 24일까지 ‘내란 특검법’과 ‘김건희 여사 특검법’을 공포하지 않으면 그 즉시 책임을 묻겠다”고 위협했다. 전날 민주당 원내대표의 위협적인 발언은 한덕수 대행이 특검법 공포를 미루거나 거부권(재의요구권)을 행사하면 즉각 탄핵을 추진하겠다는 뜻이 담겨있다. 대통령 권한대행이 여야 지도부가 합의 안 된 법안에 대한 처리를 놓고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이미 한 대행이 양곡법이나 국회증언감정법 등은 거부권을 행사했다. 이번에 법안 통과가 불발될 경우 정국 안정 협의체가 시작도 하기 전에 영향을 줄 수도 있어 정국 수습을 위해 현실적인 방안을 찾아야 하는 이유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