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역사상 처음 벌어지는 대통령 권력을 둘러싼 혼미는 그 끝을 예측할 수 없다.   국회 제1 권력인 민주당이 정부 권력의 견제를 위한 탄핵제도를 민주당의 독주에 걸림이 되는 정부 부처의 장은 물론 검찰 권력에까지 칼날을 들이댄 데 이어 대통령과 대통령의 권한대행에까지 탄핵소추를 단행했다.   정부는 숨만 쉬고 있을 뿐 정상적인 집행권을 행사하지 못하고 헌법재판소의 처분만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 되었다.     헌재 역시 6인 체제에서 8인 체제로 바뀌면서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해지긴 했으나 대통령 권한대행의 대행이 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말썽을 남기고 있다.   정부 제도가 정상적으로 작동된다면 앞으로 헌재의 결정에 따라 정국이 안정될 것이지만 이미 윤석열 대통령은 국회의 탄핵소추에 대해 불복의 의견을 가지고 있다.   공수처의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에 대해서도 승복하지 않는 태도를 보임으로써 국회가 탄핵소추를 했지만 헌재의 결정 과정에는 많은 다툼이 예상된다.   또한 국회에서 탄핵소추가 결정되었지만 많은 국민들과 윤대통령 지지자들이 국회 탄핵소추에 불복하고 거리집회에 나서고 있다.   반면 민노총 등 탄핵지지세력 역시 대결적 자세를 강하게 나타내고 있다. 헌재의 결정이 어떻게 내려지더라도 국민들간의 대립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짐작된다.   특히 우파지지 국민들을 착잡하게 하는 것은 대통령을 배출한 국민의 힘이 한동훈 세력들의 탄핵지지에 이어 국회의 탄핵소추 결정 이후 윤대통령의 탄핵 불복에 대한지지 여부에 불투명한 태도를 취하고 있는 점이다.  물론 새로 구성된 여당 지도부는 윤대통령이 탄핵소추를 받게 된 데 대한 대국민 사과는 했지만 대통령의 탄핵소추에 대한 불복에는 불확실한 태도다.   그러나 탄핵 불복을 주장하는 국민들과는 거리감을 가져왔던 여당 의원들도 광장의 탄핵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태도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렇게 되면 대통령탄핵을 둘러싼 국민들의 태도는 야권의 탄핵 지지세력과 국민의 힘과 지지세력 내의 탄핵 찬반분리, 탄핵 반대편의 친윤대통령 세력 등으로 나누어지는 것이다.   시간이 갈수록 이들 세력간에는 이합집산의 변동이 일어날 가능성이 있을 것이고 궁극적으로는 탄핵을 둘러싼 찬성과 반대세력이 분명해지고 찬반 어느 한 편의 세력이 압도적인 쏠림 현상도 일어날 수 있을 것이다.     헌재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모르나 국민들의 찬반에 대한 쏠림현상이 일어날 경우 국민 다수의 태도는 헌재 결정에 대해 지지하거나 반대하는 태도가 강하게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   물론 국민들은 헌법기관의 결정에 승복할 수도 있겠으나 반대할 가능성도 없지 않을 것이다.   헌재는 이같은 상황을 염두에 두고 많은 고심을 하게 되겠지만 헌재 결정과 국민 다수의 태도가 대립적 상황을 빚을 경우 이 문제 마찰은 헌재의 결정에도 불구하고 쉽게 가라앉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헌재의 결정이 법과 원칙에 따라 이루어져 국가의 안정과 발전을 위해 기여하는 방향으로 결론이 내려질 것으로 기대하는 것이 국민들의 바람이다.   탄핵정국과 함께 헌재에 대한 여론의 평가는 판사 개인의 성향에 따라 온갖추측이 난무하고 그것이 국민 불안을 가져오고 있지만 국민들은 국가의 평안과 이익을 위한 결정이 되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헌재의 결정이 만의 하나 국민분열과 대립의 불씨를 만든다면 국가와 국민의 불행을 가져올 수도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일제의 신고와 6·25참상, 피를 흘린 민주혁명, 허기진 세월 속에 이룩한 산업혁명 등으로 세계 10위권의 영광된 나라를 이룩한 지금 국민이 직접 뽑은 대통령 탄핵문제로 모든 것을 잃는 나라를 만들어서야 되겠는가?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