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안보 상황은 잠시도 마음을 놓을 수 없는 위기이다. 미국 트럼프 2기 정부 출범을 겨냥한 북한의 도발이 계속되면서 우리 안보를 위협하고 있다. 미국의 주한미군 주둔비 대폭 인상 요구는 가뜩이나 탄핵정국에 풀어야 할 난제로서 엎친 데 덮친 격이다.
이런 상황에서 군 사령탑인 국방부 장관의 공백 장기화는 안보 우려감을 증폭시킬 수밖에 없다. 
대통령과 국무총리가 탄핵 되고 군 컨트롤 타워인 국방부 장관의 동시 부재가 40일째 지속되는 초유의 사태가 이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오스틴 미 국방장관 방한이 무산되면서 안보 관련 일정도 차질을 빚고 있다. 장관 공석은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이 비상계엄 사태 이후 탄핵소추안 발의 직후 지난달 4일 사임 하면서 시작됐다.
남과 북이 대치하고 있는 분단 상황에서 안보 사령탑인 국방장관은 어떤 경우에도 비워둘 수 없는 막중한 자리다. 한국 동란과 온갖 격동기에서도 국방장관 자리는 언제나 신속히 이뤄졌다. 국방부 장관 공석은 1948년 정부 수립 이후 두 차례 있었으나 최저 이틀에서 최고 닷새가 고작이다.
실제로 국방부 장관 공석은 한국전쟁 중이던 1951년에 이틀간, 5·16 군사 정변 당시 닷새가 전부였다.
그런데 이번 계엄 사태 이후 군 통수권자인 대통령과 군 컨트롤 타워인 국방장관의 동시 부재가 장기화 되고 있다. 연초 북한의 극초음속 미사일 발사는 중대한 도발이지만 국수뇌부 부재로 안보 우려감을 증폭시킬 수밖에 없다.
여당인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가 지난 8일 안보·치안 책임자인 국방·행안부 장관을 임명할 것을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요청했으나 원론적인 답변만 내놓고 있다. 최 대행은 여야 공조를 강조하며 별다른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대통령에 이어 국무총리마저 탄핵 소추돼 '대행의 대행' 체제로 국정을 꾸려가는 상황에서 국방부 장관 임명이 여야 정쟁의 대상이 되어선 안 된다.
  최 대행과 여야 대표들은 머리를 맞대고 거국중립 내각 장관을 인선한다는 심정으로 국방장관 인사를 서둘러야 한다. 물론 탄핵정국이라서 새 인물을 구하기가 쉽지는 않으나 안보에는 여야가 따로 없기 때문에 머리를 맞대면 인재는 얼마든지 있다. 한반도 안보상황은 최대 위기이다. 헌법재판소의 대통령 탄핵 심판 때까지 안보 수장을 비워두게 되면 안 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