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가 의정 갈등 해소를 위한 정부의 잇단 유화 조치에도 꿈쩍하지 않고 '강경 모드'를 유지했다. 전공의 모집과 새 학기 개강, 2026학년도 의대 정원 논의 등을 앞두고 사태 해결을 위한 의정 논의가 시급한 상황이지만 대화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대화가 성사된다고 해도 합의에 이르기까지 험로가 예상된다. 특히 김택우 의협 신임회장이 당선 일성이었던 정부의 구체적인 의대교육 정상화 계획을 재차 요구하면서 공을 다시 정부 쪽으로 넘긴 모양새다.김 회장은 14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정부가 사태 해결과 의대교육 정상화를 위한 뚜렷한 계획과 명확한 방침을 내놓아야만 의료계 역시 2026년 의대 정원 문제를 비롯한 의대 교육 계획 역시 논의하고 대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 10일 정부가 사직 전공의가 원래 병원에 복귀해 수련을 이어가도록 수련 특례와 입영 연기 조치를 내놓은 것에 대해선 "후속조치에 불과하다"고 평가절하했다. 일단 의협은 대화 '전제 조건'으로 의대 교육 정상화 계획을 내세우고 있다. 지난해 2월 의대 증원 발표 이후 의대생들이 무더기로 휴학하면서, 이들이 새 학기 모두 복학할 경우 2025학번 신입생을 포함해 최대 7500명가량이 한꺼번에 1학년 수업을 받게 된다. 이와 관련해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난 10일 "2025년에는 교원 증원과 시설·기자재 확충, 의대 교육혁신 지원 등 의학교육 여건 개선에 총 6062억원의 예산을 투자한다"며 의대생들이 복귀만 하면 수업이 차질 없이 진행될 것이란 점을 거듭 강조했다.의협으로서는 이 정도 계획으론 정상 교육이 불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의료계 일각에선 2026학년도 신입생을 아예 뽑지 않거나 줄여서 뽑은 후 2024·2025학번을 올해와 내년에 분산해 수업을 듣게 하는 방법도 거론한 바 있다. 어떤 식으로든 의협 눈높이에 맞고 현실성도 있는 대책을 찾기 쉽지 않은 만큼 의료계와 정부, 정치권의 대화가 이뤄지기까진 진통이 예상된다. 다만 의정 갈등 장기화로 인한 피로감이 의료계 내부에서도 작지 않은 만큼 어떤 형식으로든 사태 해결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지 않겠느냐는 전망도 조심스레 제기된다. 연합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