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와 내수 침체 등 경기 악화에 대응하기 위해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이 설 연휴를 앞두고 경기부양책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지자체들은 예산 조기집행 기조하에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상 자금 지원, 골목상권을 살리기 위한 '선결제 캠페인', 지역화폐 발행 확대 등 대책을 수립하고 민생경제 활력 되살리기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12·3 비상계엄 충격과 고환율·고물가로 내수 부진이 장기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자 각 지자체는 정부 방침에 발맞춰 상반기 예산 조기집행에 집중한다. 강원도는 지역경제와 직결되는 7조8000억원 규모의 올해 예산 중 70%를 상반기에 조기집행한다. 경남도는 올해 상반기에 예산 65%를 조기집행한다. 경남도는 지난해 세입이 줄어 긴축 예산을 편성했지만, 올해는 세입 전망을 봐가며 조기에 추경을 편성한다는 입장을 정했다. 인천시도 상반기에 61.5%, 1분기에만 37%를 집행할 계획이다. 지역경제의 주축 역할을 하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지자체의 자금 지원 움직임도 활발하다. 울산시는 올해 총 2200억원 규모의 중소기업 육성자금을 지원한다. 특히 울산시는 다양한 경영 애로를 겪는 중소기업을 돕고자 상반기에 자금을 조기 공급하고, 고금리 상황에 어려움을 겪는 업종을 대상으로 촘촘한 금융안전망을 구축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부산시는 소상공인 자금난 해소를 위해 1800억원 규모 '비타민 플러스' 자금을 마련하고 설 명절 긴급 자금지원으로 정책자금 2000억원을 신속 집행한다. 침체한 골목상권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선결제 캠페인과 시청사 구내식당 휴무일 확대 등도 전국 곳곳에서 이어진다. 부산시는 기관별 업무추진비 일부를 설 명절 전까지 미리 결제한 후 재방문을 약속하는 '부산형 착한결제 캠페인'을 추진한다. 이 캠페인에 40개 기관이 54억원 규모로 참여 의사를 밝혔다. 자영업자와 지역상권을 살릴 지역화폐 발행 규모 및 혜택을 확대하는 지자체도 있다. 경기 안양시는 이달부터 4월까지를 '소비 촉진 기간'으로 정하고 지역화폐(안양사랑페이) 500억원을 추가 발행한다. 연합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