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하권의 강추위가 지속되며 겨울철 난방기구 사용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최근 5년간(2019~2023년) 전국 1만531건(27.41%) 화재가 겨울철(12월~익년2월)에 발생했다. 겨울철 인명피해는 725명(30.07%), 재산피해액은 2035억원(21.45%)으로 다른 계절에 비해 월등히 높다. 그 중 화재가 가장 많이 발생한 곳은 주거시설이며 화재원인으로는 부주의(48.97%), 전기(24.42%)로 인한 화재가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다.전기화재의 경우에는 트래킹(미소물질에 의한 도전성 통로 형성) 현상을 들 수 있다. 전압이 인가된 도체 간 고체절연물 표면에 수분을 함유한 먼지 등 전해질의 미소물질이 부착돼 그 절연물 표면에 소규모 방전이 발생하는데, 이것이 반복되면 절연물의 표면에 점차 도전성의 통로(track)가 형성되고 이 현상을 트래킹이라고 한다. 이렇게 전기적 요인으로 일어나는 화재의 경우는 대부분 노후한 전기 배선과 불량한 콘센트가 주된 원인이다.전기화재를 예방하는 방법으로 첫째, 하나의 콘센트에 여러 가지 전기기구를 꽂아서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전열기기는 콘센트 용량에 맞게 사용하고 콘센트를 나누어서 사용하는 등 전력이 분산될 수 있도록 배치해야 한다.둘째, 사용하지 않는 전기기구는 전원을 끄고 플러그를 뽑아 둔다. 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도 낭비되는 전력이 발생하는데 이를 대기전력(standby power)이라 하며, 불필요한 전기사용으로 인한 화재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셋째, 콘센트에 플러그는 흔들리지 않게 완전히 꽂아 사용해야 한다. 밀착력 있게 꽂히지 않으면 접촉 불량으로 인한 스파크 등이 발생하는데, 이는 화재의 원인이 된다.넷째, 전기담요는 접힌 부분에 열이 발생하므로 밟거나 접어서 사용하지 않고, 돌돌 말아 보관 하는 것이 안전하다. 접었다 펴기를 반복적으로 행하면 전선이 절연피복 내에서 단선되거나, 완전히 단선되지 않을 정도로 심선(소선)의 일부가 남아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결국 나중에는 심선이 끊어져 반단선 상태가 되며 전기화재로 이어진다. 또 온도조절기를 밟거나 이불로 덮어두는 행위는 금물이다. 충격과 열기는 센서를 고장내며, 나아가 스파크를 일으킬 수 있다. 다섯째, 전기난로. 전면 그릴에 먼지가 붙거나 끼지 않도록 주의한다. 먼지 등 이물질로 인해 화재 발생 확률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과열로 인한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서 벽에서 20cm 이상 떨어드려야 하며, 장시간 사용 시 중간 중간 잠시 전원을 차단하기 바란다. 전기화재 시 절대로 하면 안 되는 행동은 물을 사용해 화재를 진압하는 행위이다. 물은 전도체이므로 물을 뿌리면 전류가 흘러 감전사고로 이어지며, 화재를 더욱 확산 시킬 수 있다. 다양한 전기제품을 더 안전하게 사용하는 습관을 가지며, 화재발생 요인을 사전에 점검한다면 화재 걱정 없는 안전한 사회를 모두 같이 만들 수 있다. 또 가정에 소화기 를 비치하고 사용방법을 숙지한다면 화재발생 초기 진압으로 피해를 저감하는데 큰 역할을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