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 사태 직후 급락했던 국민의힘 지지율이 급상승하고 있다. 16일 발표된 여론조사에서 국민의힘이 더불어민주당을 오차 범위 내 앞섰다. 국힘 지지율 상승은 윤 대통령이 공수처의 체포 압박에 상당 기간 버티며 지지층을 결집한 측면이 있어 보인다.
윤석열 대통령은 12·3 비상계엄을 선포한 지 43일 만인 15일 내란혐의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에 체포됐다. 국회의 즉각적인 비상계엄 해제 이후 서울 한남동 관저에 머물며 사실상 연금(軟禁) 상태에 있었다. 윤 대통령은 계엄 사태를 수사하기 위한 특별수사본부를 구성한 검찰은 지난달 11일 윤 대통령에게 '15일 출석'을 통보했다. 윤 대통령에 대한 첫 소환 통보였다.
뒤이어 공수처와 경찰, 국방부 조사본부로 구성된 공조수사본부는 지난달 16일 윤 대통령에게 '18일 출석'을 요구했다.
윤 대통령은 변호인 선임 등이 완료되지 않았다는 등 이유를 들어 수사기관의 출석 요구에 응하지 않았다. 이후 공수처 요구에 따라 검찰이 윤 대통령 사건을 이첩했고, 윤 대통령 수사는 공조수사본부를 주도하는 공수처로 일원화됐다.
그러나 윤 대통령은 공수처의 2차, 3차 소환 요구에도 불응했다. 이에 공수처는 지난달 30일 서울서부지법에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 영장을 청구했고 31일 영장을 발부받았다.
공수처는 지난 3일 윤 대통령에 대한 1차 체포 영장 집행에 나섰다가 대통령 경호처의 저지에 막혀 5시간 넘는 대치 끝에 철수했다.
그 뒤로도 윤 대통령은 "내란죄에 대한 수사권이 없는 공수처의 수사와 체포 영장 집행은 불법"이라며 이날 2차 체포 영장 집행 때까지 버텼다.
그 사이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직후 급락했던 국민의힘 지지율은 민주당을 추월했다. 한국리서치 등 여론조사 업체 4사가 지난 13일부터 15일까지 시행한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정당 지지도에서 국민의힘 35%, 민주당 33%이며 오차 범위 내 1·2위가 바뀌었다.
올해 대통령 선거가 치러질 경우 더불어민주당 후보에게 36%, 국민의힘 후보에게 33%로 역시 오차 범위 내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서 확인할 수 있다.
여론은 조석 지변이다. 폭주하면 국민은 등을 돌릴 수밖에 없다. 윤 대통령 비상계엄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공정한 판결이 사태를 수습할 수 있다고 본다. 헌법재판소가 정치권 압력에 휘둘리지 말고 양측 모두 수긍할 수 있도록 흠결 없는 탄핵 심판을 해야 하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