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탄핵 사건을 심리하는 헌법재판관들이 편향됐다는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헌법재판소는 논란의 중심에선 재판관 감싸기에 급급해 의혹을 키우고 있다. 헌재는 "탄핵 심판은 재판관 개인의 성향에 좌우되지 않는다"며 정면 반박했다. 국민의힘이 연일 헌법재판소의 정치적 편향성을 주장하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에서 공정성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논리를 이어갔다.   헌재 천재현 공보관은 31일 브리핑에서 "대통령 탄핵심판의 심리 대상은 그 행위가 헌법이나 법률에 위배되는지, 그 위반의 정도가 중대한지 여부"라며 "이 판단은 헌법과 법률을 객관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이뤄지는 것이지 재판관 개인의 성향에 좌우되는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또 "재판관 개인의 성향을 획일적으로 단정 짓고 탄핵 심판의 본질을 왜곡하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며 "이로 인한 사법부 권한 침해 가능성에 대해 헌재는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앞두고 있는 가운데 헌재는 일부 재판관의 성향이 지나치게 치우쳤다는 논란에 휘말린 게 사실이다. 문형배 헌재소장 권한대행의 과거 SNS 행적이 논란의 중심에 섰다. 문 대행은 2011~2013년 페이스북에서 사법연수원 동기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최소 7차례 소통한 사실이 알려졌다. 또 2010년 유엔군 참전 용사 묘역을 방문한 뒤 블로그에 "전쟁의 방법으로 통일을 이루려는 자들"이라는 표현을 써 논란이 됐다.    문 대행은 "원문 전체를 읽고 맥락에 따라 판단하길 바란다"며 "SNS에서 이 대표와 나눈 대화가 대통령 탄핵 심판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 의문"이라는 입장을 전했다. 천 공보관도 "현재 이 대표와 문 대행은 페이스북 친구가 아니며, 10여년 전 작성된 댓글 간 대화 내용까지 기억하기를 기대하긴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미선·정계선 재판관의 가족이 야당에 편향된 활동을 한 사실도 드러나 논란이 불거졌다. 이 재판관의 친동생 이상희 변호사는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민변) 산하 '윤석열 퇴진 특별위원회'의 부위원장을 맡은 사실이 알려졌다. 정 재판관의 남편 황필규 변호사는 윤 대통령 탄핵심판에서 국회 측 대리인단 공동대표인 김이수 변호사가 이사장으로 있는 공익 재단에 근무 중이다.  헌재는 법치의 최후 보루이다. 편향된 재판관에게 공정한 심판을 기대하기 어려운 사정이다. 일부 재판관의 행적들은 객관적 사정으로 볼 때 재판 부적격이 차고 넘친다. 의혹이 있는 재판관은 재판에서 손을 떼야 사법부 불신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본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