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원로들은 17일 여야가 분권형 권력구조 개헌 추진을 위해 국회 특위를 구성하고 개헌 과제를 여야정 협의체에 상정해 논의하라고 촉구했다. 전직 국회의장·국무총리·당 대표들로 구성된 '나라를 걱정하는 원로모임'은 이날 서울 여의도 한 식당에서 4차 간담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을 결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는 정대철 헌정회장을 비롯해 김원기·박병석·정세균 전 국회의장, 김부겸·이낙연 전 국무총리, 여야 각 정당 대표를 지낸 서청원·김무성·손학규·황우여 전 대표 등 10명이 참석했다.정 회장은 "국회의장 및 여야 대표는 추경과 함께 개헌 과제를 여야정 협의체에 조속히 상정해 본격 논의하고, 이른 시일 내 국회 헌법 개정특위를 구성해 즉시 가동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서청원 전 한나라당 대표는 "개헌 문제의 핵심은 야당에 있다"며 "민주당을 설득하는 방법으로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는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3년 후 내각제 개헌, 대통령 임기 3년으로 단축'을 공약으로 내세워야 한다"고 말했다.원로들은 탄핵 찬반 집회 등에서 극명하게 드러난 정치 양극화에 대한 우려도 표명했다. 박병석 전 국회의장은 "국민 갈등이 위기 상황까지 와 있다"며 "대선을 치른들 과연 갈등의 골을 메울 수 있을 것인가가 굉장히 심각한 과제가 됐다"고 말했다. 이낙연 전 국무총리는 "정치 지도자들이 자신과 반대 의견을 가진 사람을 '악마'라고 하는 등 분열적이고 적대적인 용어가 범람해선 내전 상태를 피하기 어렵다. 자제해야 한다"고 말했다.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을 둘러싼 공정성 논란을 두고는 이견이 표출되기도 했다. 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는 "이번 탄핵 재판 과정이 제가 생각해도 불공정투성이라 생각한다"며 "어떤 판결이 나와도 그 판결에 대한 저항이 폭발해 지금까지보다 더 큰 국가적 위기가 올 것으로 걱정된다"고 말했다. 반면 정세균 전 총리는 "헌재를 무력화하면 어떻게 하겠다는 것이냐"라며 "얼마 전 서울서부지법이 폭력에 의해 공격당하는 일도 있었듯 이제 헌법기관, 정부 기관이 이렇게 불법적으로 공격받는 일은 자제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합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