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내년에도 친환경농업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키로 했다. 도는 그동안 꾸준히 환경농업을 추진, 올해까지 6,200ha의 친환경농산물 재배면적을 확보한데 이어 내년에는 3,477억원을 투자, 7,500ha까지 늘린다는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 영농의 패턴이기도 하지만 이제는 수확량보다는 질에 치중하겠다는 것이어서 기대가 크다. 국민들의 소득이 늘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웰빙식품, 무농약 유기농 식품이 각광을 받고 있는 추세를 반영한 것이다. 지역맞춤형 생산기반을 조성, 식품의 안전성을 높이는 것은 미래농업이 가야할 당연한 길이다. 도가 친환경 생산기반을 위해 600ha이상 광역농업단지 3곳을 조성하고 10ha이상 녹색성장 우수지구 9곳, 유기농업실천 시범지역 3ha을 지정키로 한것도 도의 농업정책의 단면을 잘 보여주고 있다. 무농약영농으로 생산기반이 바뀌는 것을 계기로 곤충산업을 신성장동력으로 삼아 북부권에 공동사육 시범농가를 육성키로 해 영농의 다양성도 기대된다. 여기에 질과 영양, 맛을 더한다면 더 이상 바랄 것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판로개척과 계획생산이다. 수급에 안정을 기해 올해처럼 신선채소의 공급이 턱없이 모자라거나 남아돌아 영농비도 못건지는 사례가 없어야 한다. 철저한 계획생산으로 가격의 안정을 기하고 소비자를 확보하는 선진국형 영농패턴이 중요한 것이다. 생산에만 치중하지 않고 출하를 조절하고 수급에 안정을 기하는 유통구조도 중요하다. 농민들은 농사만 지어면 판로는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시스템 구축이 절실한 것이다. 중간상인만 배불리는 유통구조로는 친환경 영농이 결코 농민들의 희망일 순 없는 것이다. 또한 친환경농업은 기업농육성이 전제돼야 한다. 고령화된 기존농업인으로는 고도의 영농기법이 수반되는 친환겅농업의 성공을 장담할 수 없다. 투자가 이익으로 되돌아 오는 과학영농을 위해선 재배농가만 늘린다고 대수가 될 수 없다. 효율적인 영농기법도 함께 전수되고 농민들의 호응도 뒤따라야 한다. 실적주의를 경계하는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