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례없는 건설업 장기 불황이 고용 위기로 확산하면서 한국 경제를 옥죄는 대형 악재가 되고 있다. 건설업 일자리 부진은 중장년에 이어 청년층으로 번지고 있다. 연령대를 가리지 않는 고용 위축은 소득 감소로 이어져 내수 부진의 골을 키우고 있다. 정부는 작년부터 건설 투자를 유도하고 있지만 고금리·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등 쉽게 '약발'이 들지 않고 있다. 사회간접자본(SOC) 투자 등이 필요하지만 대규모 세수 펑크 탓에 재원이 부족한 실정이다.2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 달 건설업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16만9000명 줄어든 192만1000명을 기록, 200만선이 무너졌다. 건설업 취업자가 200만명을 하회한 것은 코로나19 팬데믹 당시인 2021년 2월(198만명) 이후 약 4년 만이다. 건설업 불황에 따른 고용 부진은 주로 상용직과 청년층에 집중됐다.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달 건설업 청년 취업자는 1년 전보다 36.6%(6만1000명) 급감한 10만5000명을 기록, 10만명 선을 턱걸이했다. 전 연령대 중 감소율이 가장 높다.건설업 부진이 장기화하고 있지만 쓸 수 있는 카드가 마땅치 않아 더 우려스럽다. 고금리·고물가가 건설수주 부진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됐다. 하지만 강달러 기조와 PF 부실로 작년 3분기까지도 금리 인하가 쉽지 않았고 결국 이자 부담에 시달리는 건설업의 숨통을 틔워주기에는 역부족이었다. 건설수주에 경고등이 커지자 정부는 작년 1기 신도시 재정비 착공 시기 단축, 그린벨트 해제 등 규제 완화·공급 확대 대책을 쏟아냈지만 뚜렷한 효과는 '아직'이다. 지난 19일 미분양 주택 매입 등 지방 건설경기 보완방안을 또 내놨지만 신공항·광역급행철도(GTX) 건설 등 대형 국책사업이 없는 "자잘한 경기 부양책"이라는 볼멘소리도 나왔다. 전문가들은 강달러 기조로 당장 공격적인 금리 인하가 어려운 만큼 건설업 불황은 당분간 이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을 내놨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건설업 부진은 장기화할 가능성이 높다"라며 "금리·미중 무역전쟁·관세전쟁·정치적 불확실성 등이 건설업 부진의 이유인데 모두 해결이 쉽지 않다"고 강조했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