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어획량이 감소하면서 밥상에 오르는 수산물 가격이 오르고 있다. 고수온 등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어군 형성이 부진하거나 어군이 이동하는 등 '어장지도'가 바뀌면서 어업에 전반적인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해양수산부는 기후변화로 인한 해양 환경과 생태계 변동을 감시하고, 대중성 어종 6종 등 수산물 수급 예측 모형을 개발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4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최근 오징어와 고등어, 명태, 마른 멸치 등 대중성 어종 가격이 평년과 전년에 비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달 28일 기준 연근해산 냉장 물오징어 가격은 한 마리 9417원으로 1년 전, 평년과 비교해 각각 21.2%, 27.2% 올랐다. 국산 냉장 고등어 가격은 한 마리 4653원으로 1년 전보다 20.7% 올랐고, 마른 멸치는 100g당 2534원으로 17.2% 비싸졌다.수산물 가격이 오른 것은 최근 어획량이 감소한 탓이다. 통계청이 지난달 21일 발표한 '2024년 어업생산동향조사'를 보면, 작년 전체 어업 생산량은 361만t(톤)으로 전년보다 2.2% 줄었다. 특히 밥상에 자주 오르는 수산물의 연근해 어획량은 전년보다 11.6% 줄어든 84만1000t으로 집계됐다.이는 1971년(76만4000t) 이후 가장 적은 양이다. 우리나라 연근해 어업 생산량은 1980년대 평균 151만t 수준에서 2000년대 116만t으로 급감한 뒤 꾸준히 줄고 있다. 오징어의 작년 생산량은 1만3500t으로 전년보다 42%나 줄었다. 고등어와 갈치는 각각 17.4%, 26.6% 줄었다.어획량 감소는 고수온 등 기후변화의 영향이 크다. 국립수산과학원은 과학조사선 관측 결과 작년 우리 바다 연평균 표층 수온이 18.74도로, 최근 57년간 관측된 수온 중 가장 높았다고 분석했다.수협중앙회 관계자는 "수온이 오르면서 기존에 형성된 어장이 다른 바다로 이동하면서 오징어와 고등어, 멸치 등 특정 어종의 어획량이 줄거나 정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제주 연안의 수온 상승으로 방어 어장이 북상하거나, 서해에서 잡히던 꽃게가 수온이 오른 동해에서 잡히는 등 어장 지도가 바뀌면서 어업에 차질이 생긴 것이다. 통계청은 "고수온 영향으로 어군 형성이 부진했고, 자원량이 줄어 고등어류와 멸치, 갈치, 오징어 생산량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고수온으로 어장 지도를 다시 그리는 동시에 양식장에 있는 물고기의 집단 폐사도 나타나고 있다. 해수부에 따르면 작년 고수온으로 인한 양식업 피해액은 1430억원으로, 집계를 시작한 2012년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피해 규모가 컸던 만큼 양식어종의 가격은 뛰고 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지난 1월 인기 횟감 어종인 광어와 우럭 도매가격이 전년 같은 기간 대비 각각 18.7%, 55.0% 뛰었다고 분석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