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착공 1∼2년 뒤 입주가 가능한 신축 매입임대주택 4만가구를 올해 착공하기로 했다. 신축 매입임대주택 입주 물량은 내년 중 본격적으로 나올 것으로 보인다.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은 5일 서울 은평구 응암동의 신축 매입임대주택 건설 현장을 찾아 사업 추진 현황을 점검했다.매입임대주택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지방공사 등 공공주택 사업자가 기존에 지어진 주택을 사들이거나, 사전 약정을 맺은 민간 사업자가 지은 신축 주택을 매입해 시세보다 저렴하게 임대하는 제도다.정부는 도심 내 신속한 주택 공급과 비(非)아파트 시장 정상화를 위해 작년과 올해 2년간 신축 매입임대주택 11만가구(약정 기준)를 공급하기로 했다.정부는 지난해 총 3만8531가구에 대한 신축 매입임대주택 공급 약정을 맺었으며, 올해 이 물량을 전부 착공시킨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약정 물량의 88%(3만3978가구)가 수도권에 있다이미 착공에 들어간 신축 매입임대주택은 4000가구 가량이다.박상우 장관은 "기축 매입임대는 이미 지어놓은 주택을 매입하는 것이기 때문에 새로운 주택을 공급하는 효과가 떨어지며, 민간주택을 공공주택으로 전환해 잘못하면 전셋값을 올리는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면서 "그러나 신축 매입임대는 새집을 짓는 것이라 주택 공급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국토부는 빠른 신축 매입임대 공급을 위해 올해부터 착공 때 매입 대금의 최대 10%를 먼저 지급하는 인센티브를 도입했다.LH는 조기착공지원팀을 신설하는 등 조직과 인력을 보강했다. 이를 통해 약정 이후 착공까지 걸리는 기간을 5∼6개월로 단축하는 것이 목표다.이한준 LH 사장은 "아파트형인 경우 공사 기간이 길지만 저층의 다세대·다가구형은 착공 후 1년 내 입주가 가능하다"며 "매입임대가 바로 공급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서두르고 있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