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대밭에 왕대난다'는 말이 옛부터 우리사회에서 특정가문에 대한 축하의 덕담처럼 쓰여져왔다. 훌륭한 자손이 훌륭한 선대의 재주와 품성을 이어받아 벼슬이나 덕업을 이었을 때 그 가문이 칭찬받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고려 조선사회에서는 본인의 능력이나 품성이 모자라는 데도 음서제 등으로 과거시험에 관계없이 벼슬을 하사받아 고관대작에 오르는 경우도 있어 사회부패의 주요배경이 되기도 했다. 심지어 과거제도도 시험부정이 만연하면서 결국 이것이 고려와 조선의 멸망원인의 하나가 되었던 것이다.  고려때 과거제가 우리나라에서 처음 등장한 것은 국가경영에 훌륭한 인재를 뽑아쓰고 기득권관료의 연고제 등용길을 막아 세습권력에 의한 정부관료의 부패를 없애고 정부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과거제도도 조정의 부패와 권신들의 권력농단이 심해지면서 형식만 시험제도를 유지했을 뿐 권력농단에 의한 인재등용이 만연되었고 결국 정치부패의 원인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이같이 타락한 과거제도를 기피하는 인재들이 벼슬길에 나서지않게 되자 필요한 인재를 시험없이 특채등용할 필요가 생기면서 음서제도가 만들어졌다.   그러나 이 또한 권력자들의 출세를 위한 방편으로 타락하는 결과를 빚으면서 그 후 음서제는 뒷구멍 등용제도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경험에 비추어 국가의 인재등용은 엄격한 시험제도가 최선의 방식이란 인식이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게 되면서 음서제는 타락한 등용제도로 낙인찍히게 된 것이다.  최근 윤석열대통령의 탄핵문제를 계기로 선거관리위원회의 직원채용이 내부의 짬짬이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지적과 함께 선관위 전체가 "21세기 음서제"집단으로 지탄을 받기에 이르렀다. 일부 정치권과 국민들 사이에서는 벌써부터 선관위가 관련된 불법투개표가 있었다는 소문과 함께 일부의 투개표부정들이 사실로 드러난 바 있다.   권성동 여당원내대표는"선관위는 친인척채용 논란이 생기자 서류파기를 지시하는 등 범죄행위 은폐를 시도하고 있다. 이쯤되면 선거를 벌리는 조직인지 범죄마피아 패밀리인지 헷갈릴 지경"이라고 했다. 탄핵정국에서 중앙정보부와 감사원의 선관위 조사결과 참담한 비리의 파노라마가 펼처졌던 사실이 적시되었고 당시 제대로 못밝힌 조직내 만연된 부정비리를 재조사하자는 주장이 나왔던 것이다.   그러나 헌법제판소는 이같은 주장을 거부하고 오히려 선관위에 대해 독립기관으로서 다른 기관이 감사하는 것을 막는 조치를 취함으로써 정치권과 국민여론의 반발과 지탄을 받게되었다.   또한 국회다수당인 민주당도 헌재의 선관위 옹호에 대해 침묵하는 듯한 태도를 보임으로써 부정선거와 관련한 방관적 태도가 의심을 살수 있다는 지적이 일기도 했다. 심지어 군소야당인 새미래민주당 이난연 상임고문은 "이상한 것은 거대야당 민주당의 태도"라면서 "입법권을 사실상 독점한 압도적 다수의석의 야당이 이 문제에 침묵하는 것은 아무래도 이상하다"고 지적했다. 정말 이상하다고 할 수 밖에 없다.   민주주의는 부정선거 토양에서는 꽃피울 수 없다. 부정선거에 대한 국민적 저항이 없었다면 우리나라는 민주선진국이 될 수 없었을 것이다.   민주혁명의 저항위에 6공화국이 들어서면서 우리나라는 세계적 민주선진국대열에 들어섰지만 87년민주화이후 이제 세차레나 대통령탄핵 국면을 맞으면서 앞으로도 민주정치가 궤도이탈을 하지않을런지 의문이다.   현직 대통령을 비롯한 많은 국민들로부터 부정선거의 중심에 선관위가 있다는 의심을 받고 그 조직이 가족경영과 같은 부정인사로 얼룩져있다면 이번의 민주개혁은 선관위조직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할 것임이 자명하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