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발 관세전쟁이 날로 격화하는 가운데 국내 제조업 전반이 관세 리스크에 직·간접적으로 노출돼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전국 제조기업 2107개사를 대상으로 미국 관세 영향을 조사한 결과 국내 제조기업의 60.3%가 트럼프발 관세 정책에 영향권이라고 답했다고 1일 밝혔다. '간접 영향권에 있다'고 응답한 기업이 46.3%, '직접 영향권에 있다'고 답한 기업은 14.0%였다.영향권에 속한 기업들은 '미국 수출기업에 부품 및 원자재를 납품하는 기업'(24.3%)과 '미국에 완제품 수출하는 기업'(21.7%)의 비중이 높았다. 이어 '제3국(중국·멕시코·캐나다 제외) 수출 및 내수 기업'(17.9%), '미국에 부품 및 원자재를 수출하는 기업'(14.2%), '중국에 부품 및 원자재를 수출하는 기업'(13.8%) 순이었다. 미국에 직접 수출하는 기업뿐만 아니라 미국 관세 대상국 이외의 국가와 국내 시장에서 중국 등과 경쟁하는 기업, 중국에 부품과 원자재를 수출하는 기업들도 간접 영향을 받는 것이다.직·간접 영향권에 속한 업종을 보면 배터리(84.6%)와 자동차·부품(81.3%) 업종이 가장 많았다. 미국에 진출한 국내 대기업에 부품, 소재 등 중간재를 납품하는 협력사가 다수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또 반도체(69.6%), 의료정밀(69.2%), 전기장비(67.2%), 기계장비(66.3%), 전자·통신(65.4%) 등이 뒤를 이었다.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76.7%), '중견기업'(70.6%), '중소기업'(58.0%) 순으로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기업들은 미국 관세의 영향으로 '납품 물량 감소(47.2%)'를 가장 많이 우려하고 있다. 미국에 직접 수출하지 않더라도 간접 영향권에 속한 기업이 많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이어 '고율 관세로 인한 수익성 악화'(24.0%), '미국 시장 내 가격 경쟁력 하락'(11.4%), '부품·원자재 조달망 조정'(10.1%), '납품단가 하락'(6.2%) 등이 뒤를 이었다.이런 상황에도 국내 기업들의 대응은 제한적이다. 관세에 대한 대응 현황을 묻자 '동향 모니터링 중'(45.5%)이거나 '생산비용 절감 등 자체 대응책을 모색 중'(29.0%) 인 기업이 74.5%였다.그보다 더 근본적인 대응책인 '현지 생산이나 시장 다각화 등을 모색 중'인 기업은 3.9%에 그쳤고, '대응 계획이 없다'고 답한 기업은 20.8%였다. 특히 소부장(소재·부품·장비) 협력사 같은 중소기업의 대응 계획이 부족한 실정이다. 영향권에 있는 중소기업 4곳 중 1곳은 '대응 계획이 없다'(24.2%)고 답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