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반적인 사회 불안정성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소비심리도 위축되면서 술자리가 줄고 음식점 주류매입액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8일 한국신용데이터가 발간한 '소상공인 데이터 인사이트-주류 매입 트렌드 리포트'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음식점 주류매입액 평균이 약 137만원으로 전년 동기(약 145만원)보다 5.5% 급감했다.음식점 주류매입액은 지난해 1∼2분기 142만원대에서 3분기 139만원, 4분기 137만원으로 내리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해 연간 월평균 주류매입액은 약 139만원으로, 2023년 대비 2.7% 줄었다.    한국신용데이터 관계자는 "지난해 말 내수 부진에 계엄 등이 겹쳐서 각종 심리지수가 하락하는 등 소비심리가 위축돼 주류매입액이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실제로 한국은행의 경제심리지수(ESI)는 2023년 하반기 이후 계속 하락세를 이어가 12월엔 90.2, 올해 3월 기준으로는 87.3까지 떨어졌다. ESI가 100을 밑돌면 경제 주체들의 심리가 과거보다 나빠졌다는 뜻이다.특히 지난해 연말 특수를 앞두고 계엄사태, 제주항공 참사 등으로 모임 등이 취소된 탓에 소상공인들의 타격이 컸을 것으로 보인다.소상공인연합회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계엄 사태 이후 소상공인의 88.4%가 매출 감소를 겪었으며 이 중 36%는 절반 이상 매출이 줄었다고 응답했다.국세청 폐업 신고 사업자(개인·법인)는 2023년 98만6487명으로 역대 가장 많았다. 소상공인 업계는 지난해 폐업 신고 사업자가 100만명을 훌쩍 넘을 것으로 예상한다.한국신용데이터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주종별로 맥주(4.4%)는 전년 대비 음식점 매입액이 증가했다. 반면 소주(-4.4%)와 기타 주류(-7.2%)는 전년 대비 줄었다. 지역별로는 전 지역에서 전년 대비 감소했다. 주류매입액은 전국 6개 권역 중 수도권의 규모가 가장 컸으며, 서울 자치구별로는 강남구, 마포구, 영등포구 순이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