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3일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용산 대통령 집무실의 세종시 이전 등의 여러 대안이 거론되고 있다.대통령 집무실 이전설은 앞서 민주당 대권 주자인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가 최초 언급했다. 이는 청와대로 유턴 또는 현 용산 집무실 사용이 사실상 어려워지면서다.광화문 청사는 보안 문제, 과천청사는 임시적 성격이란 한계로 인해 고려 대상이 되지 못해 결국 제 2집무실 설계가 진행 중인 세종시가 제1집무실의 최적 이전지로 급부상하고 있다.하지만 십수년 간 공고히 구축된 수도권 초집중·과밀 구도를 깰 수 있는지가 관건이다. 그러나 수도권은 2012년부터 세종시와 12개 혁신도시 출범 이후 공고한 지배력을 구축하며 2020년 대한민국 절반 이상의 인구를 넘어섰다.경제·교육·문화 등 핵심 산업 전반을 독점한 지 오래고 정치 권력 역시 제왕적 대통령제를 토대로 확고히 해 왔지만 반면 기득권 세력들의 저항이 만만치 않다는 것도 주지의 사실이다.이는 2004년 신 행정수도 건설 특별법의 위헌 판결, 2010년 MB정부의 수정안 논란, 2020년 더불어민주당의 행정수도 이전 주장 부작용 등 세종시가 행정수도로 나아가고 있는 모습은 부정할 수 없는 대목이나 실제로 그 지위를 인정하기란 쉽지 않은 현실이다.국회의 인적 구성만 봐도 수도권 국회의원은 지역구 기준 122명으로 전체 254명의 48%를 차지해 사실상 과반수에 가깝다. 이들이 자신 지역구의 이익을 포기하면서 까지 '국가균형발전 가치'를 최우선에 둘 것이란 보장도 장담할 수 없다.더불어민주당 집권시 민주당 소속 수도권 의원은 서울 36명, 경기 53명, 인천 12명 등 모두 101명에 달해 비례를 제외한 의석수 160석의 63%를 차지한다.이런 분포도로 대통령실 세종시 완전한 이전 가능성은 신행정수도 특별법에 대한 헌재의 재심 판단 요청 등 반짝 선거용으로 등장하다 사라질 공산도 크다는 우려도 나온다.하지만 지방 거주 대부분 국민들은 대한민국의 미래는 더 이상 수도권에 몰려 있어선 안 돼 정치와 행정의 중심은 단순히 건물을 옮기는 일보다 국민들 삶과 국가균형 발전을 바로 세우는 결단으로 차기 대통령은 행정수도를 세종으로 옮겨야 한다는 당위성도 제기된다.이는 국무회의실을 갖춘 정부세종청사와 43개 중앙행정기관 이전 완료, 2031년 국회 세종 의사당 개원 조건등 고려시 대통령 집무실이 반듯히 서울에 있을 필요가 없다는 주장이다.경북 지역정치권 관계자도 “행정수도 완성은 미래 세대를 위한 초당적 과제로 국가행정의 효율화, 수도권 밀집화 해소, 균형발전의 상징적 실천 수순으로 새로운 시대를 여는 정치적 용기와 결단이 필요해 차기 대통령은 말이 아닌 행동으로 행정수도 완성 의지를 국민들께 선포 약속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세종시 대통령실 이전시 세종시는 경북도청과 가까워 충청, 호남권은 물론 경북지역 발전에 상당한 시너지효과도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