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우원식 국회의장이 조기 대선과 개헌 국민투표 동시실시를 제안을 거절했다. 내란 종식이 먼저란 이유다.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을 결정하면서 정치권을 향해 “관용과 자제, 대화와 타협”을 당부했다. 개헌이 첫 시험대가 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의 주류인 친 이재명계는 비타협적 대결을 여전히 고집하고 있다. 이들은 대선과 개헌 동시 투표를 제안한 우원식 국회의장을 이틀 연속 난타했다. 우 의장은 지난 6일 “이번 대통령 선거일에 개헌을 위한 국민투표를 동시 시행하자”고 정치권에 제안했다. 
 
“극단적 대결 정치를 끝내자는 정치 개혁 요구와 국민의 삶을 바꾸는 민주주의를 하자는 사회 개혁 요구가 개헌으로 집약되고 있다”는 이유였다. 이에 대해 친 명계인 강득구 의원은 7일 페이스북에 “우 의장의 뜬금없는 개헌 주장은 비상계엄 못지않은 충격”이라며 맹공했다.  
이재명 대표 수행 실장인 김태선 의원도 이날 페이스북에 우 의장을 겨냥해 “자기 정치 할 때가 아니다”며 “개헌도 때가 있다”고 적었다. 전날에도 “국회의장 놀이를 중단하라”(6일 정청래 의원)라거나 “개헌은 개나 줘라. 제발 그 입을 닥쳐라”(6일 양문석 의원) 같은 비아냥 또는 욕설에 가까운 메시지까지 쏟아졌다.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수사 등 “내란 종식이 개헌보다 우선”이라는 논리였다. 앞서 이 대표는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대통령이 군사 쿠데타를 통해 통째로 파괴한 헌정 질서를 국민의 힘으로 간신히 복구하는 중”이라며 “민주주의 발전도 중요하지만, 당장은 민주주의 파괴를 막는 게 더 긴급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우원식 의장은 비상계엄 당일 국회 담장을 넘어 들어가 계엄 해제를 위한 본회의를 개최한 인사다. 국회의장으로서 윤석열 전 대통령이 파면이 있기까지 1등 공신으로 기록되고 있다. 이런 사람이 왜 내란을 덮으려 하겠나. 
 
지금 여러 개헌 모임엔 민주당 출신 인사가 수두룩하다. 개헌은 후진적 권력 시스템을 개선해 국가 발전을 도모하려는 초당적 대계(大計)이지 특정 정파의 정략이 아니다. 개헌 추진과 윤 전 대통령 측의 내란 혐의 규명이 배치되는 사안도 아니다. 시대적 요구이다.
현행 5년 단임제는 당선이 되면서 바로 레임덕이 온다. 교도소 담장 위로 걷는 대통령 임기 5년 단임제는 끝낼 때 됐다. 타협 없이 급하게 힘으로 제압하려다 파면된 대통령을 교훈으로 삼아 시대적 요구인 개헌으로 비극을 막아야 한다. 무엇이 그렇게 급한가. 국회의장 제안에 동의하는 국민이 많은 것은 국가 미래를 위해서다.
하지만 결국 우 의장은 민주당과 민주당의 강성 지지층에 강력한 반발에 한 발 뒤로 물러서 개헌 논의를 철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