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을 앞두고 거대 양당이 경선 구도를 둘러싼 복잡한 딜레마에 직면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벌써 3명의 주자가 경선 참여를 포기했다. 더불어민주당은 김부겸 전 국무총리가 경선 불참을 선언하는 등 이재명 전 대표의 독주 체제에 대한 당내 반발 기류가 거세지는 모습이다. 
 
국민의힘 차기 주자군은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홍준표 전 대구시장, 한동훈 전 대표, 이철우 경북도지사, 나경원 의원 등으로 분산돼 있다. 그러나 이들 중 중도층을 결집시킬 '구심점' 역할을 할 인물은 뚜렷하지 않은 상태다. 이에 당 일각에서 '한덕수 차출론'이 거론되자 오세훈 서울시장이 반발, 경선 참여를 포기했다. 
 
이어 유승민 전 의원도 경선룰이 비민주적이라며 포기했고 새누리당 대표를 지낸 호남 출신 이정현 전 의원은 백이종군 한다는 입장문을 발표했으나 사실상 경선 룰에 대한 불만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이재명 전 대표의 '1강 체제'가 굳어지는 가운데, 최근 확정된 경선룰을 둘러싸고 당내 갈등이 표면화하고 있다. 당 대선 특별당규준비위원회가 '권리당원 50%와 국민 여론조사 50%'인 '국민 참여 경선' 룰을 확정하자, 비명(비이재명)계를 중심으로 비판이 잇따르는 상황이다. 
 
비명계는 당원과 일반 국민을 구별하지 않는 완전 국민경선(오픈 프라이머리) 방식을 요구하고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김동연 경기 도지사는"국민 경선 포기는 국민을 신뢰하지 못한다는 것"이라며 “시정되지 않으면 중대한 결심을 할 수밖에 없다”고 항의했다.
조기 대선에 보수측은 이번 조기 대선이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이 헌재에 의해 파면된 8년 만에 또 다시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대선을 실시하는 슬픈 역사를 기록하게 되면서 분위기가 착잡하다. 윤 전 대통령 탄핵안 국회 통과부터 헌재의 파면 결정까지, 그리고 대선 과정에서 진영·세대·지역간 갈등은 조기 대선에서도 폭발할 전망이다. 
 
그동안 대한민국은 '탄핵 찬반'으로 쪼개져 주말마다 서울 광화문 광장과 헌재 인근에서 집회가 열렸고 종교계와 대학가도 둘로 갈라졌다.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된 후에도 환영하는 집회와 반대하는 집회로 후유증은 쉽사리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국민의 요구는 무너진 대한민국을 반듯하게 세울 인물을 찾고 있다. 나라를 이 지경으로 만든 주범은 정치권이다. 이번 대선은 입만 벌리면 거짓말인 사기꾼 정치인을 색출하는 좋은 기회가 되고 있다. 헌재의 심판보다 무서운 국민의 준엄한 심판을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