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월 조기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일선 지방자치단체들이 지역의 주요 현안을 대선 공약에 반영하기 위한 움직임을 본격화하고 있다. 특히 시도지사가 대선 출사표를 던지지 않은 지자체를 중심으로 단체장이 앞장서 대권주자들에게 지역 숙원사업 추진과 현안 해결을 요청하는 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16일 지자체 등에 따르면 광주광역시는 40개 사업, 총 81조원 규모의 '광주시 대선 공약'을 준비했다. 주요 사업은 AI(인공지능) 중심도시·미래 모빌리티 신도시 조성,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청 신설, AI 융합 콘텐츠 문화기술(CT) 연구센터 설립, 국가 주도 민·군 통합 서남권 관문공항 건설 등이다.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은 대선 기간 서울에 집무실을 차리고 후보들과 정당 관계자들을 직접 만나 이들 현안을 공약에 반영하도록 요청할 예정이다.전남도는 국립의과대학 설립, 석유화학·철강산업 대전환 메가프로젝트, 솔라시도 AI 슈퍼클러스터 허브 구축 등 75건의 대선 공약을 발표했다.부산시는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결정 직후부터 시정 현안의 차질 없는 추진과 대선 공약 반영에 주력하고 있다. 부산시는 최우선 현안인 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 통과와 한국산업은행 본사의 부산 이전 등이 대선 공약에 포함되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충북도는 청주국제공항 민간항공기 전용 활주로 건설, 충청권광역급행철도(CTX) 조기 추진, 수도권 공공기관 2차 이전, 청주 야구장 건립, 청주교도소 이전 추진 등 각 정당과 후보자들에게 건의할 현안 사업 63건과 제도 개선 과제 16건을 정했다.경남도는 경제자유구역 확대, 경남경제자유구역청 설립, 우주항공청과 연계한 우주항공 복합도시 건설, 남해안권 발전 특별법 제정 및 관광청 설립 등이 대선 공약에 반영되도록 노력할 계획이다.경북도는 북부 산불 피해 복구, 백두대간 낙동정맥 산림 관련 산업 대전환, 포스트 APEC 세계 역사문화 융성도시 조성, 낙동강·금호강·형산강 국가 3강 종합 개발 등이 대선 공약에 포함되도록 준비하고 있다. 경북도는 이들 사업을 구체화해 각 정당의 대선 후보가 정해지면 국정 과제로 제안할 예정이다.대구시는 대구경북 신공항 건설 공공자금관리기금 지원, 달빛철도 조기 착공, 대구경북특별시 출범 등의 현안을 검토해 오는 25일까지 공약 최종안을 확정할 계획이다.세종시는 대통령실과 국회의사당을 세종시로 완전히 이전하는 것을 포함해 중부권 국가 메가 싱크탱크 조성, AI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조성, 국립한글문화단지 조성사업 등을 대선 공약에 반영해 달라는 건의서를 각 정당에 전달했다. 제주도는 제주형 행정체제 개편, 제주신항만 개발사업, 우주산업 클러스터 조성, 공공기관 제주 이전 등 23개 과제를 대선 공약에 반영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