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대선을 앞두고 '반(反)이재명' 기치를 내세운 '빅 텐트론'이 정치권의 화두로 떠올랐다. 국민의힘 내부에서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독주에 제동을 걸기 위한 '제3지대 반명(反明) 빅 텐트' 구성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민주당과 국민의힘에서 경선 이탈자들이 나오고 있는 상황도 무관치 않아 보인다. 민주당에서는 경선룰이, 국힘에선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차출론'이 빌미가 됐다.한국 정치사에서 이종 세력 간 '하이브리드 연합'이 전례 없는 일은 아니다. 1997년 대선 당시 김대중 새정치국민회의 총재는 김종필 자민련 총재와의 'DJP 연합'을 통해 중도 보수층까지 흡수해 정권교체에 성공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새누리당 탈당파 등이 임시 연대해 조기 대선을 이끌어냈다. 현재의 빅 텐트론 구상은 '반이재명'이란 정서적 명분에, 권력구조 개편의 논리가 깔려있는 듯 보인다.빅 텐트론은 '반이재명'이란 강력한 출발점이 있지만, 이를 성공적으로 성사시키려면 단순한 반대 연대에 머무르지 않아야 한다. '누구를 막자'는 정서는 선거 전략으로는 유효할 수 있어도, 국가 비전과 정책 대안 없이 유권자들의 지지를 이끌어내기는 어렵다. 국정 운영의 방향과 개혁의 청사진이 부재하면 '권력 나눠먹기'로 비칠 수도 있다. 이 과정에서 '개헌'이 유력한 의제로 부상할 것으로 전망된다. 제왕적 대통령제의 폐해를 극복하고, 권력의 분산과 협치를 강화하기 위한 이원집정부제 혹은 내각제로의 전환을 통해 새로운 정치틀을 짜자는 것이다. 하지만 개헌 논의가 선거 승리를 위한 정치공학으로 비치면 역풍을 맞을 수 있다. 결국 빅 텐트론의 성공은 단일 후보의 리더십, 참여 세력 간 신뢰, 국민과의 소통이란 세 가지 요소가 조화를 이룰 때 가능하다. '반이재명'은 결속의 계기가 될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권력 획득의 정당성과 함께 개혁과 통합의 로드맵을 제시해야 한다. 과거 연합 세력들은 대선 이후 곧바로 내부 갈등에 직면했고, 정국 안정성과 지속 가능성 측면에서 한계를 드러낸 바 있다. 공동의 적이 사라진 이후에도 연대가 유지되도록 신뢰가 수반돼야 한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