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파면으로 의료 개혁도 폐기되나, 의료계는 비정상적인 정책들은 모두 폐기 되기를 바란다. 예컨대 2008년 시작된 ‘요양기관 당연 지정제’와 ‘상대가치 점수제도’는 대수술해야 한다. 이런 제도로 인해 의료 서비스가 왜곡됐고 기피 과가 생겼다. 지금처럼 과도한 의료 이용 현상을 방치하면 재정 지출도 급증하고, 건강보험료율도 법정 한계치(8%)를 곧 넘어설 수밖에 없다. 의료계도 변해야 한다.    주 40시간 근로자들보다 2배 이상 많은 주 88시간 전공의 근로 시간의 단축을 주장하면서 의대 정원 증원에 반대하는 것은 본말전도다.    한의사가 포함된 의사 수를 따지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에 못 미치는 것도 사실이다. 정부는 일부 잘못된 건강 보험법과 급여 체계에 대한 전면적인 개편이 필요함을 솔직히 인정해야 한다. 경증 질환에 대한 의료 이용량 감축 방안과 건강보험 재정 확보 방안을 국민 앞에 제시해야 한다. 정부와 의료계가 신뢰 관계를 회복해야 한다. 의사 단체에 자율 징계권을 주는 것이 신뢰 회복의 한 방편이 될 수 있다.    트럼프 정부의 관세 폭탄과 심각한 내수 경기 침체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산적해 있지만, 국민의 생명·건강과 직결된 의료 정책과 의·정 갈등도 시급하게 정상화해야 한다. 6·3 조기 대선에 출마한 후보자들은 교착 국면을 타개할 방향과 구체적 대책을 제시해 국민의 선택을 받기 바란다. 윤석열 정부는 지난해 2월 의료계와 충분한 논의 없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 정책을 발표하고 강행했다. 이에 반발한 전공의들이 집단 사직서를 제출했고, 의대생들은 장기간 휴학했다.    이후 1년이 더 지났지만, 전공의들은 대부분 복귀하지 않았다. 기존 정원 3058명과 증원된 1509명을 합쳐 4567명의 의대생은 휴학을 철회했지만 대부분 수강하지 않고 있다.    대학들은 대규모 유급을 경고하고 있다. 수강 일수나 수강 시간을 줄이면서라도 상급 학년으로 진급시키겠다더니, 이제는 수강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유급을 시키겠다며 학교와 교수들이 나서서 학생들을 겁주는 상황이다. 사실 지난 1년간 의료계는 전공의와 의대생에 대한 교육을 제대로 진행하지 않았다. 지금 이대로 방치하면 올해도 큰 변화는 없을 것이다. 의료 체계와 의료교육 체계, 그리고 이공계 대학마저 의대 입시 광풍으로 무너지는 상황이라고 많은 이들이 걱정한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