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27일 산불피해 현장인 영덕군 노물리에서 이철우 도지사를 비롯한 도 간부 공무원과 김광열 영덕군수 및 노물리 주민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경북도 전화위복 버스 현장회의’를 개최했다.이번 현장 회의는 영덕 산불 피해 복구와 노물리 마을 재건 방안을 모색하고, 주민 의견수렴을 통해 앞으로 경북도와 영덕군의 역할과 후속대책에 대해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회의는 노물리 마을 재건계획과 임시주택 설치 추진 상황 보고, 영덕군 산불 피해 복구계획 보고, 주민 의견 수렴과 토론 순으로 진행됐다.현장 회의에서 배용수 도 건설도시국장은 산불로 인해 주택 신축은 어려운 상황으로 복구를 넘어 새롭게 ‘노물리 마을 재건사업’이 필요하며, 블루로드 테마마을, 전망대공원 조성, 마을 공공시설 확충 및 재정비를 통해 영덕 노물리 마을을 명품 해양관광 마을로 재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이어 문성준 영덕부군수는 임시 주거 시설과 구호 지원 추진상황, 농․어업 및 산림피해 상황에 대해 보고하고, 4월말까지 산불피해 복구계획을 확정하고, 5월말까지 임시주거시설을 신속히 설치하는 한편, 이재민 생활안정화사업 및 공공·사유시설 복구 등 산불피해복구를 위한 예산확보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한편, 경북도는 산불 피해복구와 지원을 위한 특별법 제안과 제정, 정부 추경예산 피해지원 예산의 반영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으며, 가장 시급한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마련과 여름철 집중호우, 산사태 등 2차 피해방지, 피해주민 생계위기 긴급 공공형 일자리 사업 지원 등 산불 피해복구와 주민들의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산불로 집을 잃은 주민들이 집을 새로 짓지 않고 다른 곳으로 가게 되면 결국 마을이 사라지게 된다”며 “이재민 이주마을 조성을 통해 지방소멸 방지와 공동체 회복, 더 나아가 재건사업을 통해 새로운 관광명소로 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아울러, “산불피해 극복과 지역재건을 위해 특별법 제정과 정부예산 충원이 가장 중요하다”며 “도와 시군의 행정과 예산을 집중해 피해 주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모든 방법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