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정규직과 비정규직 근로자 간 시간당 임금 총액의 격차가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나빠졌다. 근로일수가 줄어든 이유도 있지만, 비정규직의 낮은 임금 상승률도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고용노동부가 29일 발표한 '2024년 6월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작년 6월 기준 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시간당 임금 총액은 2만5156원으로 전년 동월(2만2878원)보다 10.0% 증가했다.월 임금 총액은 이 기간 2.7% 증가했는데 시간당 임금 총액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은 전년 대비 월력상 근로일수 2일 감소로 인해 근로 시간이 10.8시간 줄어든 데 따른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 형태별로 보면 정규직의 시간당 임금 총액은 2만7703원으로 11.7% 증가했고, 비정규직은 1만8404원으로 4.7% 늘었다. 작년 6월 기준 비정규직의 시간당 임금 총액은 정규직의 66.4%에 불과했다.이 비율은 전년보다 4.5%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2008년 이 통계를 작성한 이후 전년 대비 가장 큰 수준으로 떨어졌다. 비정규직의 정규직 대비 시간당 임금 총액 비율은 2020년 이후 줄곧 70%를 넘었으나 지난해에는 2019년(69.7%) 이후 5년 만에 60%대로 다시 떨어졌다.이에 대해 노동부는 "월급제와 연봉제가 대다수인 정규직은 근로일수가 감소하면서 시간당 임금 총액이 더 많이 증가했으며 단시간 근로자 증가 등으로 인한 비정규직의 낮은 임금 상승률도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다.작년 6월 기준 국내 임금 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저임금 근로자 비중은 16.08%로 전년(16.24%)보다 0.16%포인트 낮아졌다. 저임금 근로자는 임금 수준이 중위 임금의 3분의 2 미만인 근로자를 가리킨다. 작년 6월 기준 중위 임금은 월 340만6000원이다.임금 상위 20% 근로자의 평균 임금을 하위 20% 근로자의 평균 임금으로 나눈 임금 5분위 배율은 4.42배로 전년(4.50배)보다 개선됐다. 전체근로자 1인당 근로 시간은 146.8시간으로 전년 같은 달(157.6시간)보다 10.8시간 감소했다.작년 6월 근로일수가 전년 대비 2일 감소함에 따라 근로 시간이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정규직은 162.2시간으로 전년보다 12.3시간, 비정규직은 105.8시간으로 5.1시간 각각 줄었다.정규직의 사회보험 가입률은 94% 이상으로 전년과 동일했다. 비정규직은 68∼82% 수준으로 고용보험은 0.3%포인트 높아졌고 건강보험은 0.2%포인트, 국민연금은 0.9%포인트 각각 내려갔다. 퇴직연금 가입률은 51.5%로 전년과 동일했다. 고용 형태별 가입률을 보면 정규직은 60.0%로 전년 대비 0.1%포인트, 비정규직은 28.8%로 0.3%포인트 각각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