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는 지난 28일부터 30일까지 포항 비행장과 조사리 훈련장 일대에서 상륙작전 시 다양한 지속지원 수단과 합동전력 운용능력을 제고하기 위해 ‘합동 공중재보급 훈련’을 실시했다.해병대사령부 주관으로 해군·해병대 합동상륙훈련과 연계하여 실시한 이번 훈련에는 해병대 1사단, 군수단, 항공단, 해군 특전대대 및 공군 작전사·군수사가 참여하였으며, 해군 마라도함 및 공군 C-130 수송기, 해병대 MUH-1 ‘마린온' 등 해상 및 공중 전력이 투입됐다.적의 종심지역까지 전개되는 높은 난이도의 상륙작전은 지상 보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공중재보급을 통한 신속한 지원이 필수적이다.    이번 훈련에서 해병대는 고정익 항공기를 활용한 화물 투하와 회전익 항공기를 활용한 헬기 내부 인양 훈련을 실시하며, 공중재보급 능력 향상에 집중했다.실제 이번 훈련에는 ‘컨테이너 보급 시스템(CDS)’이 활용되었으며, 장비, 식량, 유류 드럼 등 약 800kg의 물자가 A-22 화물낭 6개에 포장되어 공중에서 투하되었으며, 81mm 박격포-II 등 전투 물자가 적시·적소에 지원되어 상륙군의 임무수행을 뒷받침했다. 특히, 해군에서 운용하는 상륙함 마라도함에 탑재된 해병대 상륙기동헬기 마린온이 긴급 보급품을 공중 수송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마린온의 다양한 운용 가능성을 실전에서 검증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상륙작전 시 선견부대작전을 주 임무로 하는 해군 특전대대도 합동 공중재보급 훈련에 최초로 참가해 UDT 대원들의 생존성과 임무수행 능력 향상을 위해 훈련에 임했다.이번 훈련을 총괄한 한지훈 해병대 군수참모처장(대령)은 “상륙작전의 성패는 다양한 수송수단을 통한 적시적 지속지원에 달려 있다”며, “이번 훈련을 통해 열악한 상황 속에서도 임무를 완수할 수 있는 해병대의 작전수행 능력을 한 단계 발전시켰다”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