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공공기관의 신규채용 규모가 2만명으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직원들의 평균 보수는 7200만원, 기관장들은 1억9100만원으로 집계됐다. 기획재정부는 30일 이런 내용의 331개 공공기관의 경영 정보를 알리오 홈페이지(www.alio.go.kr)에 공시했다고 밝혔다.기재부에 따르면 공공기관의 작년 말 기준 총정원은 42만3000명으로 전년보다 약 2000명 증가했다. 지난해 공공기관은 전년과 유사한 2만명 수준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했다. 철도공사에서 1600명, 국민건강보험공단 900명, 한국전력 600명 등이다.신규채용 규모는 2020년 3만명에서 2021년 2만6000명, 2022년 2만5000명, 2023년 2만명으로 계속 축소됐다. 코로나19 완화에 따른 공공의료기관 신규채용 감소 등에 따른 것이라고 기재부는 설명했다.지난해 공공기관(은행 제외 328개 기관) 재무 정보는 자산 1151조9000억원, 부채 741조5000억원을 기록했다. 당기순이익은 8조1000억원이다. 부채 규모는 전년보다 31조8000억원 증가했다. 다만 경영 여건 개선에 따른 당기순이익 흑자 전환 등 자본 증가 효과로 부채비율은 2023년 183.0%에서 지난해 180.6%로 2.3%p 감소했다. 3년만의 감소 전환이다.부채가 증가한 주요기관은 주택금융공사로, 보금자리론 지원을 위한 채권발행 확대 등으로 8조7000억원 증가했다. 토지주택공사(7조3000억원), 도로공사(3조2000억원), 건보공단(3조원) 등도 크게 늘었다. 한전 부채는 2조9000억원 늘어, 2023년(9조7000억원)보다 증가폭이 축소됐다.공공기관 직원 지난해 평균 보수는 직원 7200만원으로 집계돼 전년 대비 2.6% 증가했다. 공공기관 기관장의 평균 보수는 2.6% 늘어난 1억9100만원으로 나타났다.지난해 복리후생비 총액은 8180억원으로 전년보다 2.7% 감소했고, 1인당 금액은 187만원으로 1년 전보다 3.0% 줄었다.지난해 육아휴직자는 2만5284명으로, 전년보다 668명 늘었다. 남성 육아휴직 사용자 수는 2023년 5820명에서 지난해 6678명으로 증가했다. '6+6 부모육아휴직제' 도입 등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고 정부는 분석했다.기재부 관계자는 "저출생 극복을 위한 정책 기조를 반영하여 일·가정 양립 관련 공시 항목을 7개에서 9개로 확대했다"며 "육아휴직·출산휴가·단축근무·직장 어린이집의 수가 증가하는 등 일·가정 양립 문화 확산은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