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화재나 응급환자가 발생하면 먼저 119를 떠올릴 만큼 경북소방본부 종합상황실에는 해마다 신고건수가 늘어나고 있다.
“여보세요? 여기 oo동 000아파트 인데요. 구급차좀 보내주세요. 아버지가 쓰러지셨어요” 라는 다급한 신고전화가 걸려왔다.
신고 받은 상황실 119대원은 “예 아버지께서 쓰러지셨다고요? oo아파트 몇동 몇호입니까? 라고 물어보지만 신고자는 흥분한 상태로 같은 말만 되풀이 한다.
이번에는 “연기가 발생하고 있어요”라는 화재 신고가 들어왔다. 신고를 받은 119대원이 정확한 화재장소를 묻자 “여기가 아니고 저기 200 ~ 300m 지점에서 연기가 발생하고 화재현장은 보이지 않는다”라고 한다.
이처럼 119 신고전화를 분석해 보면 너무나 긴장한 나머지 당황하여 정확한 신고를 하지 못해 신속한 조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사례가 많다.
어느 누구도 급박한 상황에 처하면 침착함을 유지하기 어렵지만 119에 신고할 때는 당황하지 말고 정확하게 신고해야 보다 신속하고 적절한 소방서비스를 받을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그렇다면 올바른 119 신고요령은 무엇일까?
첫째, 화재나 위급한 환자가 발생한 위치를 정확하게 신고해야 한다.대부분의 신고자는 본인이 평상시에 알고 있던 곳이라도 당황하게 되면 패닉 상태에 빠져 사고 장소를 설명하지 못하거나 잘못 전달하는 경우가 많다.
이럴 경우 소방차가 출동한다고 해도 사고 장소를 찾는데 많은 시간을 허비하게 되어 쉽게 끌 수 있던 화재가 커지면서 인명과 재산 피해가 많이 발생하거나 응급환자의 경우에는 제때에 신속한 조치를 받지 못해 심각한 상태에 이룰 수도 있다.
일단 사고를 목격했을 대는 누구나 알 수 있는 큰 건물이나 지형지물을 말하거나 주변에 지리를 잘 아는 사람에게 신고를 하게 해야 한다.
하지만 주변에 큰 건물이 없을 경우에는 건물 간판에 적혀있는 전화번호를 알려주면 된다.
둘째, 모든 상황을 될 수 있으면 자세하게 설명해야 한다.
“ 교통사고가 났어요”, “누가 쓰러졌어요”, “누가 건물에서 떨어졌어요”처럼 소방대원들이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가 없는 신고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어떤 교통사고인지”, “어디가 어떻게 아픈지”, “화재시 건물안에 누가 있는지” 등 모든 정보를 파악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상황실 119대원이 신고 상황을 알았다고 할 때까지 끊지말고 기다려야 한다.
신고자가 당황해서 제 말만 하고 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현장에 필요한 모든 상황을 파악해야지만 상황에 맞는 소방활동장비가 적절히 투입되어 신속하게 소방활동을 펼칠 수 있다.
119 신고는 누구나 다 할 수 있다.
그러나 당황하거나 패닉상태에 빠지면 정확하게 신고하기는 어렵다.
침착하게 상황을 판단하고, 정확하고 빠른 신고는 화재, 구조, 구급 등 소방활동 이전에 무엇보다 중요하다.
박웅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