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의 잉락 친나왓총리가 연내에 우리나라의 4대강사엽을 직접 확인하기 위해 방한을 계획하고 있다고 한다. 태국은 올해 50년만의 대홍수로 대부분의 강이 범람하고 국토의 70%이상이 물에 잠기는 재난을 당했다. 해마다 물난리로 고통을 겪지만 올해는 유난히 피해가 커 항구적인 치수대책을 세우겠다는 정책이 수립된 것이다. ‘새로운 태국’이라는 기치아래 9,300억바트(32조)를 들여 치수사업을 벌이기로 했는데 그 모델이 우리의 4대강 살리기가 될 것이라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올해는 예년에 볼 수 없는 엄청난 강수량을 보였으나 홍수피해는 거의 없었다. 그토록 설왕설래하며 반대가 많았던 강살리기가 어쩌면 외국에 노하우를 전수하고 대형 프로젝트에 참여할 기회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여 격세지감을 느끼게 한다. 올들어 지구촌의 기상이변과 천재지변은 부쩍 잦아졌다. 일본과 터키, 인도네시아, 필리핀의 대지진은 엄청난 재앙으로 다가왔고 태국의 홍수와 미국의 한파, 아프리카대륙의 가뭄은 생존환경을 크게 흔들고 있다. 산업혁명 이후 지속적 이산화탄소 배출은 온실효과로 이산화탄소의 대기권내 축적으로 지구온난화를 가속화시켜 마침내 이상기후라는 부메랑이 되어 돌아온 것이다. 최근 영국의 한 해양과학교수는 오는 2015년이면 북극의 빙하가 모두 녹아내릴 것이라고 경고했다. 녹아내린 빙하가 겨울철이면 다시 얼어붙고 녹고하는 순환을 계속할는지 모르지만 북극빙하가 없어진다는 것은 곧 북극곰의 멸종을 의미한다. 뿐만아니라 생태계에도 엄청난 변화를 초래, 극지대 생물들이 도태돼 또다른 극지 환경이 형성될 것이라는 전망도 가능하다. 극지대 환경변화는 남극도 예외는 아니다. 얼마전 미국 항공우주국은 남극대륙의 빙하에 길이 30㎞ 깊이 60m의 균열이 생겨 올 겨울이나 내년초 빙산으로 분리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파일 아일랜드라 불리는 이 빙산은 880㎢에 달하는 거대한 규모로 남극대륙 빙하의 분열을 가속화시키는 전조로 보여 긴장을 더해주고 있다. 온실가스로 인한 온난화로 해수면은 계속 높아지고 있다. 남태평양 섬나라들이 해마다 높아지는 수위로 국토가 바닷속으로 침하되고 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이들 섬나라들은 지구상에서 없어질 것이라는 진단이 나오고 있다. 이들이 온실가스의 축소와 지구온난화 방지에 목숨을 걸고 있는 것은 그토록 생존이 절박하기 때문이다. 가설이지만 남극과 북극의 얼음이 모두 녹으면 해수면은 지금보다 75m가 높아질 것이라고 한다. 이렇게 될 경우 지구촌은 어떨게 될까, 우선 해수면과 인접한 미국의 프로리다, 샌프란시스코만, 맨허턴 덴바등은 물속에 잠긴다. 빌딩 30층 높이의 해수면 상승은 능히 그같은 추측을 가능케 한다. 뿐만아니라 상하이, 방글라데시, 네덜란드도 같은 상황에 처할 것이다. 일본열도도 해안가는 모두 침수될 것이고 한반도도 예외는 아닐 것이다. 상상만 해도 끔찍한 재앙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그러한 징후는 조금씩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미래에 대비한 우리사회의 아젠다는 무엇일까. 그 첫째는 기후변화에 대한 철저한 대비이다. 자칫하면 재앙으로 이어지는 환경재난은 미리 대비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다. 태국이 막대한 예산을 들여 본격적인 치수사업을 벌이려 하는 것도 미래에 닥쳐올 재앙에 대비하는 정책이다. 또하나는 통일에 대비하는 것이다. 독일의 통일을 보면 엄청난 통일비용과 문화충돌이 있었다. 우리도 그때에 대비, 통일비용을 축적하고 문화적 동질성을 쌓아가야 한다. 포퓰리즘적 복지로 예산을 30%를 복지에 충당하는 현실을 보면서, 또한 미래의 주인공이 될 2040들이 그런 정책에 부화뇌동하는 것을 보면서 앞으로 그들이 짊어지게 될 짐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우선먹기는 곶감이 달지 모르지만 준비되지 않은 미래, 축적되지 않은 힘은 오늘의 그리스나 이탈리아와 같은 처지에 처하지 말라는 법이 없다. 앞을 내다보고 차분히 준비하는 자세, 미래에 우리의 젊은 세대들이 져야 할 부담을 생각한다면 우리의 복지는 좀 더 가다듬을 필요가 있다. 복지도 중요하지만 미래에 대한 투자와 대비는 더욱 중요하다. 변 린(객원논설위원.수필가)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