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 중, 고등학생들의 겨울방학이 끝나고 2월 초 개학과 동시 각 학교마다 졸업식을 거행하게 된다. 각 학교마다 졸업식장은 그야말로 숙연한 분위기 속에서 그동안 갈고 닦은 학문과 지식을 한 몸에 담고 정든 교실을 떠나는 자리면서도 한편으로는 상급학교에 진학해 또 다른 새 출발을 하게 된다. 그러나 언제부터인가 졸업식장이 좋지 못한 행동들이 관습화 돼 가고 있다. 특히 중, 고등학교의 졸업식 때 흔히 볼 수 있는 교복을 찢는 행위와 밀가루·달걀투척, 알몸거리 활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행동들은 어린학생들이 주변사람들의 시선을 전혀 의식하지 않은 채 옛날부터 내려온 풍습이니까 우리도 이를 답습해야 한다는 관습화된 행동에서 자행되고 있다. 학생들의 졸업식장 문화가 점점 과격해지면서 최근 몇 년 사이 졸업식장에선 폭죽과 소화기 밧줄 등 자칫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천만한 물건들까지 등장하고 있다. 특히 일부 학생들의 경우 자신이 졸업하는 학교가 아닌 인근 학교의 졸업식장까지 원정을 다니며 위험한 퍼포먼스를 벌이고 있어 올바른 졸업식 문화 정착을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때다. 엄숙한 졸업식 때 꼭 교복을 찢고 달걀과 밀가루를 투척해 가면서 알몸상태로 거리를 활보해야 하는지와 무엇 때문에 이러한 꼴불견 행동을 해야 하는지 학부모와 학생 그리고 교사들 모두가 다시 한번 생각해 볼 문제라고 본다. 참으로 상투적인 말이지만 졸업은 새로운 시작이라는 말의 의미를 조금이라도 학생들이 알도록 사회, 가정, 학교에서 따뜻하게 지도한다면 과연 졸업이 책임이 끝나는 해방이라는 생각은 하지 않을듯 싶다. 졸업이라는 행사가 자신을 더욱 성숙하고, 더 책임감 있는 ‘사회적 인간’으로 만드는 것이라는 사실을 우리 어른들이 학생들에게 가르쳐 준다면 청소년들의 건전한 육성과 배움의 터전인 학교의 졸업식 때 교복을 찢고 밀가루를 뿌리는 것과 같은 잘못된 뒤풀이 문화는 사라질 것이다. 서미화 군위서 경사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