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춘이 지났음에도 날씨가 오락가락하며 추위가 사그라지지 않고 있더니 이제 조금씩 날씨가 풀리며 봄기운이 오고 있다. 이제 추위가 사그라지면서 겨울동안 꽁꽁 얼어 있던 땅이 녹는 해빙기가 시작이 된다. 그렇다면 해빙기에는 어떤 사고들이 많이 일어나며 어떻게 대비를 해야 할 것인가?
우선 저수지·강·하천에서의 얼음낚시로 인한 사고를 조심해야 한다. 이 시기 얼음은 약한 충격에도 깨지기 쉽다. 물의 깊이나 유속에 따라 얼음 두께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얼음 두께를 확인 할 수 없는 것이다. 안전해 보이는 얼음일지라도 실제로는 깨지기 쉬워서 얼음 위를 지날 때에는 항상 균열로 인한 사고의 위험성에 대비해야 한다.
그리고 또 조심해야 할 사고로는 축대, 노후건물, 산비탈·도로변의 절개지, 공사장 등의 붕괴사고 등이 있다. 해빙기의 건설현장은 공사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시기로 겨우내 얼었던 지반이 녹아 약해지면서 지반 침하로 인한 붕괴 및 비탈면 축대 등의 붕괴 위험성과 가설구조물들의 변형이 많이 발생되어 사고의 위험이 높다.
이러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공사장의 경우 지반침하로 인한 이상징후는 없는지, 안전펜스·접근금지 표지판 등 안전시설이 잘 설치돼 있는지를 확인해야 하며,절개지는 낙석·토사유출 여부를 확인한 후 빗물 또는 눈 녹은 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윗부분에 배수로를 만들어 줘야 한다. 축대와 옹벽은 균열 및 배부름 현상(토사가 밀려나와 벽이 불룩해진 것)의 발생여부를 살펴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위험요인이나 돌발 상황을 접했을 때에는 즉시 119나 시설관리자에게 신고하여 피해를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해빙기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앞서 이야기 한 것과 같이 생활주변 시설물을 관심 있게 살피고 안전사고 예방에 관한 지식을 습득하여, 사소한 부주의가 대형재난으로 이어져서 소중한 생명과 재산을 잃는 일이 없도록 철저히 대비하여야 한다.
이윤호 일월119안전센터장 지방소방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