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미 FTA 타결 등 시장 개방 확대로 축산농가의 한숨이 나날이 깊어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경주지역내 봄철 건조한 날씨속에 축사 화재까지 심심찮게 발생하고 있어 다시 한번 축산농가의 화재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축사화재는 한번 발생하면 다시 원상복구를 하기까지는 많은 노력과 자금 시간이 필요하며 모든 피해는 축산농가에 돌아가게 된다. 또한 축사 화재는 타 업종보다 피해액이 월등한 경우가 많다. 그 이유는 짧은 시간에 급격히 연소하는 축사 내 볏짚, 조립식 패널구조와 더불어 대부분이 소방관서와 원거리에 위치하여 초기대응이 어렵고, 화재 시 다수의 가축이 함께 소사하여 피해액이 커지기 때문이다. 농심(農心)을 멍들게 하는 축사화재는 전기시설 관리만 잘해도 막을 수 있다. 축사화재의 발화 원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당연 전기합선이다. 즉, 문어발식 콘센트의 사용, 오래(노후)된 전선의 방치, 온풍기와 전기히터, 할로겐 등 전기제품들을 무분별하게 사용하고 방치하여 그로인한 과부하와 과열, 전기 합선으로 인해 화재 발생이다. 전기합선으로 인한 화재가 발생한 이유는 축사내 온도와 바깥온도 차이로 내부 습도가 높아 전기배선에 물기가 생기고 피복이 벗겨져 있는 부분 등에 습기나 빗물이 들어가 화재가 발생하고 있다. 현재 사용중인 전열기구 등은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특히 보온기구와 전기배선 등은 주기적으로 점검하여 전선피복이 오래(노후)되어 벗겨지거나 먼지가 많이 쌓이지 않도록 관리해야 한다. 또한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축사건물 수리를 하기 위해 용접을 하는 일이 많아졌다. 용접작업중 작은 불티가 인근에 방치되어 있는 가연물 등에 불티가 튀어 화재가 발생한다. 이에 대한 예방은 주변 가연물을 제거 후 작업을 하고, 화재가 발생하면 즉각 소화가 가능하도록 소화기나 소방수 등을 비치해 두고 작업을 해야 하며, 화재발생시 신속한 소방차량 출동을 위해 소방차 진입로를 확보해 두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 경주소방서 예방홍보담당 김용만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