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절기가 되어 계절이 바뀌면서 부고 소식이 많이 들어오고 있다. 한국인의 사망원인 중에 심장정지로 사망한경우가 3위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이 심장정지 사망의 경우 신속한 초기 응급처치로 사망률을 낮출 수 있다. 그 단적인 예가 선진국의 심정지환자 소생율은 15~40%인데 우리나라는 소생율 2.4%에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는 경우는 단 0.6%밖에 되지 않는다. 먹는 것이 달라서 그런걸까? 아니면 외국은 재활이 빠른것일까? 아쉽게도 둘 다 아니다. 이건 CPR교육이 활성화 되어있고 누가 길에서 쓰러지면 주변사람이 CPR을 119구급대원이 오기 전까지 해줄 수 있는가 없는가의 차이인거 같다. 심폐소생술 소생율 통계에 의하면 최초목격자가 심폐소생술을 실시하지 않았을 경우 분당7~8%감소하고, 실시하였을 경우 분당 3~4%의 감소율을 보인다고 한다. 뇌는 4분이 경과하면서부터 회복할 수 없는 상태로 손상이 진행되며 119구급대가 현장에 도착하는 평균시간이 7~8분이기 때문에 최초목격자의 초기대응이 절대적이다. 그러면 사람을 살리는 심폐소생술 이건 과연 어려운 것이 아니고 “심폐소생술”은 전문 의료인 보다는 일반인들이 교육을 받으면 실시할 수 있는 응급처치이고 일반인이 시기적절하게 실시하면 극적인 효과를 볼 수 있는 응급처치이다. 외국은 우리나라와는 다르게 CPR교육이 일반학교에서도 교육시간이 배정되어있는데 우리나라 같은 경우에는 필수적으로 교육을 하는 시간이 배정되어있지 않다. 그리고 실제 수료를 받는 경우도 적기 때문에 길에서 쓰러질 경우 외국에 비해서 국내의 경우 119구급대원이 오기까지 손놓고 발만 동동 굴러야 되기 때문에 일반 중·고등학교 필수수업시간을 할여하여 1년에 1번 정도는 교육을 의무화하여야 한다고 본다. 우리는 자신의 미래를 위해 운동을 하고, 보험 상품을 살피며 또 연구를 한다. 모두 자신을 위한 대비책이다. 누군가의 생명을 구할 수 있는 기술을 습득하여 놓는 것은 불우이웃을 돕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 자원봉사라고 생각한다. 혹시 내 가족이나 주변에서 소중한 사람을 떠나보내고 후회해도 이미 늦은 일이다. 조금 더 자세한 심폐소생술의 방법을 습득하고 싶다면 가까운 소방서나 119안전센터로 방문하면 친절하게 심폐소생술을 습득할 수 있다. 포항남부소방서 제철119안전센터장 유문선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