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특한 소재의 재난 블록버스터가 찾아온다. 인간의 뇌를 조종해 자살하게 만드는 살인 기생충으로 인해 벌어지는 재난 상황을 그린 영화 '연가시'(박정우 감독)가 그 작품이다. '산란기가 되면 곤충의 뇌를 조종해 물 속에 뛰어들어 자살하게 만드는 기생충 연가시가 사람을 숙주로 번식한다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라는 설정에서 시작된 '연가시'는 한국 최초의 감염 재난 블록버스터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연가시의 실체는 무엇일까? '연가시'(학명: Gordius aquaticus)는 철사처럼 가느다란 모양으로 사마귀나 여치와 같은 다른 곤충의 몸 안에서 기생하기 때문에 눈에 잘 띄지 않을 뿐더러 산란을 위해 숙주의 뇌를 조종하는 특이한 생존 방식 때문에 학계를 비롯한 곤충 애호가들은 치명적인 공격성을 가진 연가시를 '에이리언'이라는 별명으로 칭하고 그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물을 통해 곤충의 몸 속으로 침투해 기생하는 연가시는 성충이 되면 알을 낳기 위해 물로 돌아가야 하는데, 이때 숙주의 뇌를 조종해 스스로 물가로 뛰어들게 만든다. 기생충이 어떻게 뇌를 조종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은 상태. 다만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물가로 유인하는 신경조절물질을 분비해 자살을 유도한다고 알려져 있다. 영화는 '치사율 100%라는 치명적인 공격성을 가진 연가시가 사람에게도 감염된다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라는 의문으로부터 시작됐다. 연가시가 곤충을 숙주 삼았던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간의 뇌를 조종해 자살하게 만드는 설정, 연가시가 사람의 몸 속에 침투해 기생할 수 있는 경로는 물에 의한 감염이라는 것, 인간의 삶 속에서 물은 생명과 직결된 필수적 존재이기에 이 공포감은 막강하다. 변종 연가시의 단계별 감염 증상은 갑자기 식욕이 과할 정도로 왕성해지지만 섭취량에 비해 체중이 전혀 들지 않으며, 사망 2~3일 전부터는 극심한 갈수 증세를 호소하고 열국 물을 보면 정신을 잃고 뛰어들어 익사하게 된다. 영화는 걷잡을 수 없이 악화되는 감염재난의 상황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공포스럽게 변해가는 사람들과 감염된 가족을 구하게 위해 고군분투하는 가장의 모습을 통해 현실적인 공포감을 안겨주고자 한다. 김명민, 김동완, 문정희, 이하늬 주연, 7월 개봉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