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시는 전국에서 곶감생산량이 60%를 넘고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며 최소 3000억 원에서 최대 5000억 원까지 이를 정도라고 추산하고 있어 그야말로 상주농업 소득에서 최고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래서인지 서울 등 대도시 사람들은 고향이 경북 상주라고 하면 어딘지 잘 몰라도 곶감상주라고 하면 단번에 안다고 말한 정도를 봐도 쉽게 상주곶감이 어느 정도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가를 잘 알 수 있다. 상주는 10월 중순 들판에는 황금물결이 넘실대고 산에는 단풍이 곱게 물들어 갈 무렵이며 감이 익어가는 붉은 물결이 시내 가로수는 물론이고 상주시 전역에서 아름다움을 뽐내고 있다. 특히 상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여고까지 가로수 감나무는 지정관리제를 통해 가을이면 빠알갛게 홍시가 익어가는 감의 진면목을 감상할 수 있어 사진작가들이나 시인들이 작품의 소재로도 많이 활용되고 있어 상주만의 독특함을 널리 알리고 있다. 상주하면 곶감이 연상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것임에 틀림없고 상주에서 생산되는 감을 상주에서 깎아 만든 감에만 상주곶감이라는 상표명을 사용할 수 있다는‘지리적표시제’를 상주곶감에 대한 확실한 보증수표가 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어찌된 일인지 상주곶감이 지리적표시제가 정착을 하지 못하고 있어 안타깝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바코드 인식을 통한 곶감의 품질인증제도를 시작한다고 하는데 이는 지리적표시제가 정상적으로 작동한다는 것을 전제로 해야 하는데 지리적표시제가 무너진 것은 외면하고 생산농가를 추적할 수 있어봐야 무슨 소용이 있다는 말인가. 바코드를 통해 생산농가가 누구이며 어디에서 생산되었는지를 안다고 해도 과연 그 곶감이 상주감이라는 보장이 어디에 있으며, 상주에서 생산되었는지는 무엇으로 확신할 수 있다는 말인가. 곶감이라는 것이 어디에서 생산되는지를 알 수 있는 것은 생산농가만이 알 수 있고 이를 중간도매상을 한번만이라도 거친다면 생산에 관한 이력은 전혀 추적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다시말해서 곶감 생산농가가 상주시에 3천여 농가가 있는데 이중에서 대농이라고 말하는 연간 자체생산량이 30동(1동은 100점, 1접은 100개) 이상되는 4~5백여 농가를 제외하고는 소규모 곶감생산농가는 생산된 곶감의 주요 판매처로 대농곶감생산농가에 곶감을 넘기고 있다. 대농곶감농가의 이름으로 출하되고 있는 곶감의 상당량은 결국 소농곶감 농가의 곶감을 수집해 상표만 부쳐 판매하고 있다 보니 곶감의 바코드 생산자 이력표시는 전혀 무의미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라도 지리저표시제의 완전정착을 위한 선행노력이 뒷받침되어야 바코드 인식을 통한 생산자 추적으로 소비자들의 신뢰를 확실하게 붙잡을 수 있다는 점을 생산농가는 물론이고 상주시도 잘 알고 있으면서도 우선 생산과 판매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제도정착에 소극적이라면 결국 손해는 누구 몫으로 남을 것인지 자명하다. 황창연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