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낮 폭염이 맹위를 떨치는 오후 2시쯤 소방서 앞 인도 상에 갑자기 길 가던 한 시민이 쓰러졌다. 다행히 소방서에서 바로 보고 구급출동하여 응급처치를 하고 병원으로 이송하였다.
폭염이란 매우 심한 더위를 뜻하는 것으로 인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무더위를 의미한다. 이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상이변과 지구기후의 자연변동이 겹쳐 올 여름에도 30도 이상의 고온현상이 자주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
폭염주의보는 일 최고 기온이 33도 이상이고, 일 최고 열지수가 32도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때, 폭염경보는 일 최고 기온이 35도 이상이고 일 최고 열지수가 41도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때 각각 발효되는 것이다.
이 같은 폭염 속에서 장기간 야외활동을 하다 보면 일사병 및 열사병 등의 질병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으며 그 중에서도 열사병은 노인, 소아, 만성질환자에게는 생명까지도 위험하게 한다.
특히 65세 이상 노인의 경우 32도에서 기온이 1도 높아질 때마다 사망자가 9명씩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폭염이란 존재가 우리에게 얼마나 위협적인가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에 소방방재청에서는 일선 구급대에 폭염관련 구급장비를 확보하는 등 폭염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온 힘을 기울이고 있다.
사회 전반적으로 기상청과 언론, 방재, 보건당국 등의 긴밀한 협조를 통한 단기적인 폭염 대비책을 충실히 운영하는 것이 우선시 되지만 무엇보다도 자기가 자신의 건강상태를 잘 알고 있는 만큼 국민 스스로의 예방의식을 갖고 자신의 몸을 폭염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먼저 폭염시기에는 언론매체의 정보에 보다 주의를 기울이고 탄산, 카페인이 들어있는 음료는 피하되 물은 규칙적으로 자주 마시면서 업무 중에도 적절한 휴식을 가지는 것이 좋다.
그리고 한낮의 뜨거운 햇볕은 피하고 외출 시에는 가볍고 밝은 색 계통의 얇은 옷을 입도록 한다. 또한 야외 현장이나 고온 작업장에서는 시원한 장소에서 평소보다 자주 휴식을 취하는 것은 물론 동료간에 몸상태에 대해 서로 살펴주고 필요시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주변에 혼자 생활하는 노약자, 장애인, 환자 등이 있으면 관심을 갖고 주거환경과 건강상태를 보살피는 여유도 필요할 것이다. 만약 응급환자가 발생하면 119로 연락하고 구급차가 도착하기 전까지 환자를 서늘한 곳에 옮긴 후 체온을 내리는 조치를 취하는 등 이처럼 폭염에 대처하는 여러 가지 방법을 알아두는 것이 폭으로부터 피해를 줄이는 가장 중요한 방법이 될 것이다.
사하라 사막에서 꼭 오아시스에 멈추어 쉬어야 할 이유에는 세 가지가 있다고 한다. 첫째, 쉬면서 기력을 회복해야 한다. 둘째, 여정을 되돌아보고 정정해야 할 것은 정정한다. 셋째, 같은 여행길에 오른 다른 사람들을 만날 수 있다.
이상하게도 멈추어 쉬고 활력을 되찾으면 더 많은 것을 할 수 있고 더 많이 쉴수록 더 멀리 갈 수가 있다. 무더위 속, 우리는 오아시스를 만나듯 아직도 갈 길이 먼 저 뜨거운 사막을 무사히 건너기 위해서, 폭염에 지친 몸을 씻고 희망의 구름을 다시 오르기 위해서 몸도 마음도 생각도 잠시 쉬면서 폭염에 대한 바른 이해와 그에 대한 철저한 대비책으로 올 여름은 우리 국민 모두가 폭염으로부터 벗어나 안전하고 건강하게 보내길 바란다.
김옥이 영천소방서 예방홍보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