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주박물관 산하에 상주자전거박물관에 관장실이 별도로 있고 여기에 상주박물관장 명패가 있는데 이를 두고 설왕설래가 있다. 상주박물관에 박물관장실이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지만 부설인 자전거박물관에까지 관장실이 있어야 하고 명패까지 있어야 하는 것과 또 다른 하나는 명패에 새겨진 내용이 문제가 되는데 명패에는 ‘자전거박물관장 전옥연’이라고 새겨져 있다는 것. 자전거박물관은 6급 계장이 실무책임자로 있으면서 상주박물관장(5급 별정 계약직)의 업무지시를 받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자전거박물관에 왜 관장실이 별도로 있어야 하며 자전거박물관장에 상주박물관장 명패가 있어야 하는 가는 권위주의적이며 자기과시적인 행정의 전형이라고 밖에 볼 수 없다. 이는 박물관장이 자전거박물관에서 결재하는 일은 거의 없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며 박물관장이 자전거박물관의 관장이라고 명패까지 만들어 빈사무실을 묵혀두어야만 하는 가는 더 이해할 수 없다. 박물관장의 관할에 자전거박물관이 있다는 것은 행정조직상 굳이 말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기 때문에 별도의 사무실과 명패를 둘 이유가 전혀 없다는 것이 공무원 내부의 의견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시장실과는 별도로 각 읍면동에 시장실이 별도로 있어야 하며 명패도 새겨야 한다는 것인지, 아니면 시민운동장과 시설사업소에도 시장실과 명패를 별도로 갖추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면 당연히 자전거박물관에도 별도의 사무실과 명패는 불필요한 것이 아닐 수 없다. 자전거박물관에는 6급 계장이 실무를 담당하고 있고 계장의 업무범위에서는 얼마든지 관장실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하고, 외부 인사들을 접견하면서 자전거박물관의 책임자로서의 책임을 다 할 수 있어야 한다. 지금과 같이 박물관장의 명패를 두고서는 자전거박물관 담당이 어떻게 책임실무자로서의 역할에 충실할 수 있겠는가는 자명하게 아니다 라고 말할 것이며 이는 책임을 다하지 않아도 될 수 있는 빌미를 박물관장이 만들어 주는 것과 다를 바가 무엇인지 묻고 싶다. 자전거박물관에는 평일은 물론이고 주말이면 수천여명의 관광객이 찾고 있는 상주관광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측면을 조금이라도 생각한다면 자전거박물관에 관장실이 먼지만 뒤집어 쓴채 나둘 것이 아니라 자전거박물관에서 헌신적으로 근무하고 있는 직원들이 활용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는 것이 상급자인 박물관장이 해야 할 일이 아니겠는가. 물론 권위와 형식도 중요한 행정절차의 하나이긴 하지만 자전거박물관에까지 박물관장의 사무실과 명패가 권위를 세워주지는 않은 것이며 명패가 없다고 해서 박물관장의 결재를 건너뛰는 일을 없다는 것을 박물관장이 모르고 있지는 않다고 알고 있다. 다만 자전거박물관이 박물관장의 직속기관임을 자랑스럽게 내세우고자 하는 선량한 욕심(?)이라고 할지라도 이는 분명하게 고쳐져야 할 것이며 공무원 내부의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황창연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