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과 전남 등 남부지방이 가뭄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올해 예비비 등 약 1250억원을 투입해 범정부적 가뭄 장기화 대비에 나서기로 했다. 정부는 21일 오전 11시 한승수 국무총리 주재로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가뭄대책관련 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이같이 결정했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식수원 확보를 위해 지하수 개발(265곳), 송수관 설치(54㎞)에 220억원의 예비비를 투입하고, 농림수산식품부는 지하수 개발(366곳), 양수장 설치·보강(35곳), 관정관리(1523곳)에 내년 초에 230억원의 2009년 예산을 조기 투입키로 했다. 특히 정부는 바닥이 드러난 저수지의 담수능력을 높여 풍수해를 예방하기 위해 올해 예산 800억원을 들여 저수율이 낮은 1425개 저수지를 내년 이앙기 전까지 준설키로 했다. 국토해양부는 수자원공사에서 관리하고 있는 지하수 조사용 관정 320개를 가뭄지역 용수지원용으로 활용하고, 오는 2011년까지 기존 광역상수도의 급수체계를 조정해 매일 206만㎥의 여유물량을 물부족 지역에 전환·공급키로 했다. 한승수 총리는 이날 회의에서 "초기단계에서 부터 신속한 지원체계를 가동해 범정부적 대응을 해달라"며 "특히 바닥이 드러난 저수지 준설은 담수능력을 높여 풍수해를 예방하고 지방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으니 적극 추진하라"고 지시했다. 한 총리는 이어 "준설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오염 방지에도 최선을 다해달라"며 "기획재정부에서 적극적으로 예비비 지원 등에 협조하라"고 강조했다. 그는 "산간 및 도서지역의 경우 즉시 필요한 조치가 시행될 수 있도록 현장위주로 활동해달라"며 "마늘 등 가을작물 작황을 수시 점검해 농업피해 예방과 산업용수 확보에도 차질이 없도록 하고 행정안전부, 소바방재청은 산불예방에 만전을 기하라"고 당부했다. 정부에 따르면 10월16일 현재 물부족 현상을 보이고 있는 경남·전남·충북 3개도 17개 시군에서 2만1283세대, 5만569명에 대한 비상급수가 실시되고 있다. 총리실은 "정부는 지난 9월부터 가뭄 피해를 본 지자체에 양수기 전기료, 유류대 등 긴급자금 126억원을 지원했고 전남·경남도는 지역 가뭄해소를 위해 지방비 131억원을 긴급투입했다"며 "지방 상수도 취수가 중단될 경우에 대비해 인근 광역 상수도를 활용해 46개 시군에 1일 1763㎥의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체계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총리실은 또 "가뭄지역 비상급수의 원활한 지원을 위해 차량 35대, 급수탱크 158개(376톤), 병물(500㎖, 45000개)을 확보해 유사시 공급할 수 있도록 식수대책을 마련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회의에는 강만수 기획재정부·원세훈 행정안전부·장태평 농림수산식품부·정종환 국토해양부·이만의 환경부 장관 등이 참석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