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의 매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두 달 연속 감소했지만, 백화점 명품 부문은 지난 한 달 동안 32.1% 증가해 경제주체별 양극화를 반증했다.
지식경제부는 17일 '10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을 발표하고, 대형마트의 매출이 전년 동월 대비 0.7% 감소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9월 9.2% 감소에 이어 두 달 연속으로 감소세를 나타낸 것으로 올해 들어 두 달 연속 감소는 이번 이 처음이다.
상품군별로는 가전·문화 부분이 13.9% 하락했으며, 의류(-6.1%), 스포츠(-3.6%), 잡화(-5.0%) 등 비교적 필수품이 아닌 소비제품 들의 매출 하락이 두드러졌다. 다만, 생활필수품목인 식품(4.0% 상승)과 가정·생활(1.3% 상승) 부분은 소폭 상승했다.
특히 이사 및 결혼철을 맞았음에도 대형가전제품에 대한 수요 감소가 두드러졌다는 것이 지경부의 설명이다.
백화점의 10월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같은 수준(0.0%)을 유지했다. 여성정장(-12.5%)을 비롯한 의류 및 가정용품(-8.4%)의 매출이 하락세를 나타냈지만, 명품 매출이 32.1% 높아졌으며, 화장품과 장신구 등 잡화 매출(11.6%)의 호조가 이어졌기 때문이다.
의류 부문의 매출이 떨어진 것은 백화점의 세일일수가 지난해에 비해 2일 줄어든 10일에 불과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한편, 구매 1건당 구매단가는 백화점이 7만6203원으로 4만3049원을 기록한 대형마트에 비해 3만3000원 가량 높았으며, 구매 건수 역시 대형마트는 2.1% 감소한 반면, 백화점은 0.6%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