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금융위기와 경기침체 영향으로 기업들의 자금사정이 악화돼 지난 달 321개가 부도 처리 됐다. 부도 업체는 전월에 비해 118개가 증가해 3년 7개월 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신설법인 수는 소폭 늘어나는 데 그쳐 부도법인 수에 대한 신설법인 수의 배율은 약 4년 만에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19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10월 중 어음부도율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부도업체 수는 전달보다 118개(58.1%) 늘어난 321개로 집계됐다. 이 같은 부도업체 수는 2005년 3월 359개 이후 가장 많다. 증가 규모는 지난해 10월 120개 이후 최대다.
이는 내수 경기 침체에다 수출까지 둔화하면서 건설, 서비스, 제조업 등 주요 업종에서 모두 부도업체 수가 크게 늘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이 9월 66개에서 10월 109개로, 건설업은 49개에서 65개로 각각 늘었으며 특히 서비스업은 74개에서 133개로 배 가까이 늘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80개에서 111개로 증가했고 경북, 대구 등 지방은 123개에서 210개로 87개가 늘었다.
경북은 어음부도율은 전달의 0.03%에서 0.10%로 늘었다. 대구의 어음부도율 역시 전달 0.10%에서 0.15%로 늘어났다.
이에 따라 10월 전국의 어음부도율도 전달의 0.02%에서 0.03%로 늘었다. 어음부도율은 지난 6월 0.03%에서 7월 0.02%로 하락한 뒤 석 달 동안 같은 수준을 유지하다가 상승세로 돌아섰다.
10월중 전국의 신설법인 수는 3천975개로 전달보다 304개 증가했다.
신설법인 수를 부도법인 수로 나눈 배율은 18.8로 2004년 12월 (14.9)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 배율이 낮다는 것은 신설법인 수가 적고 부도법인 수가 많다는 뜻이다.
이 배율은 지난 7월 34.1에서 8월 30.4, 9월 26.2 등으로 하반기 들어 낮아지고 있다.
경제 전문가들은 올 초부터 시작된 경기하강 파급 영향이 현재 나타나고 있어, 경기 하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당분간 부도업체는 증가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