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가치가 한 달 새 5% 추락하면서 환율이 1500원선에 육박하면서 금융위기 후 15년 9개월 만에 최고치에 달했다. 달러 강세 속에 이달 초 비상계엄으로 시작된 국내 정국 불안 여파까지 더해진 결과이다.전문가들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등과 맞물려 조만간 환율이 1500원을 넘을 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일각에선 1500원이 '뉴노멀'이 된다는 우려도 나온다.29일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지난 27일 장중 1386.7원까지 고점을 높였고 1470.5원(야간 거래 마감 기준)에 거래를 마쳤다. 환율이 1480원대 후반까지 뛴 것은 2009년 3월 16일(1,488.0원) 이후 처음이다.환율은 미 대선에서 트럼프 후보 승리가 확정된 지난 11월 6일 심리적 마지노선으로 불리던 1400원 선을 돌파했다. 이후 ▲11월 13일 1410원 ▲12월 3일 1420원·1430원·1440원 ▲12월 19일 1450원 ▲12월 24일 1460원 ▲12월 26일 1470원 ▲12월 27일 1480원 선을 차례로 뚫으며 빠른 속도로 고점을 높여왔다.환율은 미 대선 전후로 이른바 '트럼프 트레이드'가 나타나면서 빠르게 상승했다. 트럼프 당선인이 관세 인상과 이민자 추방 등 공약을 실행해 인건비와 물가가 높아지면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정책금리 인하 속도가 느려질 것이라는 관측이 달러 강세를 촉발했다.특히 고금리·고물가에 따른 내수 부진이 계속되고 우리 경제 버팀목 역할을 했던 수출마저 3분기 감소세로 돌아서면서 성장 전망이 어두워진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 2기 무역 갈등이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감에 원화는 더 약세였다.이달 환율을 끌어올린 것은 윤석열 대통령의 기습 비상계엄 선포와 이어진 탄핵 정국 등 국내 정치 불안이었다. 11월 말 1400원 선 부근에서 등락하던 환율은 지난 3일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로 야간 거래에서 순식간에 1442.0원까지 치솟았다. 환율은 비상계엄이 여섯 시간 만에 해제되면서 1410∼1420원대에서 움직였으나, 윤 대통령 탄핵안 1차 표결이 무산된 뒤 1430원대로 올라섰다.환율은 지난 19일 연준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정책금리 전망치를 상향하자 1450원대로 뛰어올랐고,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탄핵당한 27일에는 1480원대로 올라섰다. 외환 당국이 유동성을 무제한으로 공급하겠다고 밝히고, 국민연금과의 외환스와프 규모를 확대하는 등 시장 안정에 총력을 기울였지만 환율 상승을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산업연구원·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등 국책연구기관과 전문가들은 대외 불확실성이 산재한 상황에서 원/달러 환율의 1,500원 도달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며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29일 KDI가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KDI는 "3~4%의 환율 변동은 통상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바, 원/달러 환율의 1,500원 도달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밝혔다.전권식 NH농협은행 FX파생전문위원은 "원화가 강세로 돌아설 재료가 딱히 없어서 1500원선으로 갈 가능성을 열어놔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 정권 출범과 탄핵 정국이 맞물리면서 외교적 공백과 함께 신인도 하락은 당분간 불가피하다"며 "외환보유고 감소 흐름 속 외환 당국의 적극적인 개입도 기대할 수 없고, 내년 성장률 전망도 1% 중후반대로 6개월 가까이 외국인의 주식 순매도가 지속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