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부모가족의 한달 평균 소득이 전체 가구 소득의 60% 수준인 294만여원에 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평균 순자산액은 전체 가구의 4분의 1 수준인 1억1000여만원이고, 채무액은 4720만원이었다. 빚을 지게 된 주된 이유는 주거비 마련과 생활비였다. 자녀를 키우면서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양육비와 교육비 마련이었으며 가장 바라는 양육비 정책 역시 양육비 긴급지원 확대와 양육비 선지급제 도입을 꼽았다.30일 여성가족부는 이런 내용이 담긴 '2024년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결과를 내놓았다. 이 조사는 한부모가족에 대한 중장기적인 지원 정책 방향 수립에 활용하기 위해 2012년부터 3년마다 실시된다.작년 3∼12월 18세 이하 자녀를 키우는 전국 한부모가족 가구주 3315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에 따르면 이들의 월평균 가구소득은 294만6000원으로, 전체 가구 평균(488만7000원)의 60.3% 수준이었다. 직전 조사 시기인 2021년(58.8%)과 비교하면 전체 가구와 소득 격차는 다소 좁혀졌다.한부모가구의 소득원은 '본인 근로소득'(78.5%)이 대부분을 차지했고, '정부 지원'(14.9%), '가구원 근로소득·가족 및 친지 도움'(4.5%), '전 배우자의 양육비'(1.7%) 등이 뒤를 이었다. 이들의 순자산은 1억1568만4000원으로, 전체 가구 평균 순자산(4억4894만원)의 25.8% 수준이었다. 평균 부채액은 4720만여원으로, 직전 조사 시기인 2021년(1852만여원)보다 2배 이상 늘었다. 빚을 지게 된 주된 이유는 '주거비 마련'(50.7%)과 '생활비'(40.7%) 등이었다.거주 형태별로 보면 '보증부 월세'(24.9%), '자가'(23.6%), '공공임대'(19.4%), '전세'(19.2%), '무상으로 가족·친지집'(11.5%)의 순이었다. 자가 비율은 전체 가구(57.5%)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한부모의 83.9%는 근로 활동 중이었고, 평균 근로 소득은 244만4000원이었다. 이 가운데 30.8%가 '임시·일용근로자'로 일하고 있었다. 이는 전체 취업자의 임시일용근로자 비율(19.9%)보다 10%포인트 이상 높은 것이다. 이 밖에 '상용 근로자'와 '자영업자·무급가족종사자'는 각각 53.3%, 15.8%를 차지했다.한부모가족 가구주의 평균 연령은 43.6세였다. 84.2%가 이혼으로 한부모가 됐고 평균 1.5명의 자녀를 양육했다. 가구 구성별로는 모자가구가 53.5%로 가장 많았고, '모자+기타가구'(15.2%), '부자가구'(20.3%), '부자+기타가구'(11.0%) 등이 뒤를 이었다.자녀의 나이와 상관없이 한부모들이 가장 큰 어려움을 호소한 것은 '양육비와 교육비 부담'이었다. 이들은 자녀 양육비로 월평균 58만여원을 썼다. 자녀 연령별로는 미취학 자녀 46만여원, 초등학생 자녀 50만여원, 중·고등학생 자녀 66만여원으로 조사됐다.양육비 채권 여부와 상관없이 전체 미혼·이혼 한부모의 71.3%는 양육비를 받지 못했다. 이 때문에 8.0%는 자녀양육비 청구소송을 했고 양육비이행관리원의 '한부모가족 자녀양육비 청구소송 지원' 도움을 받은 비율은 47.6%였다.양육비 이행확보를 위해 시급한 제도에 대해 71.0%는 '양육비 긴급 지원 확대와 양육비 선지급제 도입'이라고 밝혔다. 이어 '제재 조치 강화'(17.5%), '면접교섭지원서비스 강화'(10.6%) 순이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